[주의사항]
*** 본 공고의 지원을 위해서는 반드시 창의재단 홈페이지 내 https://www.kofac.re.kr/?mod=document&uid=8240&page_id=2066 [공고번호] 2016-125를 통해서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메이킹 교육과 관련한 국내ㆍ외 주요 이슈조사 및메이킹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창의적 인재육성의 주요한 전략이자 방법론인 청소년 대상의 메이킹 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내ㆍ외의 메이킹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과제를 공모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2016년 12월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
1. 공모개요
□ 추진목적
◦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메이킹 교육과 관련한 세계적인 현황과 경향을 조사함으로써 관련 사업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
◦ STEAM교육, SW교육 등 교육과정과 더불어 자유학기제 등 시행중인 제도를 상호보완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교육용 리소스 마련 필요
◦ 교육용으로 적합한 동영상 등 메이킹 교육 우수 리소스의 확보 및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방식으로의 자료화
□ 연구과제 개요
◦ (사 업 명) 메이커 교육과 관련한 국내ㆍ외 주요 이슈조사 및 메이커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고기간) ~공모일로부터 15일
◦ (공고방법) 한국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http://www.kofac.re.kr) 게시
◦ (연구기간) 협약체결일로부터 ~ 4개월
◦ (지원규모) 1개 기관 선정, 연구비 30백만원 이내 지원
□ 연구과제의 주요 내용
◦ 세계 주요국의 메이킹 교육현황 조사와 메이킹 교육의 트렌드 분석
- 미국, 유럽 등 메이킹 교육 선진국의 메이커 교육현황 조사(학교 내 교육, 학교 밖 교육 현황 등 전반)
- 학교 내, 학교 밖의 메이커 교육실천을 위한 교육방법론, 교사교육 체계, 교재 및 교구활용 등에 대한 조사
◦ 학교 교육현장에 도입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과 접목한 메이킹 교육(하드웨어 교육) 실천방안 마련
- 학교에서의 메이커 교육 실천 사례 조사 및 유형화
- 코딩교육, 프로그래밍 교육 등 소프트웨어 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메이킹 교육 실천방법론 제안
◦ 학교현장의 메이커 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 활성화 방안 마련
- 과학실, 기술실험실 등의 보완을 통한 메이커 교실로의 활용방안 제안
- 학교 밖 메이커스페이스 연계를 통한 메이킹 교육 활성화 방안 제안
◦ 유튜브 동영상 등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메이킹 우수 리소스 확보 및 활용도 높은 형태로의 자료화
- 해외 우수자료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활용가능한(저작권 검토) 교육용 리소스 풀 구축
- 메이킹 교육 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번역, 보조자료 개발 등 가공
2. 신청안내
□ 신청요건
◦ (신청기관) 과제수행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대학, 기관(법인) 등
- 고등교육법 제4조에 의해 설립된 대학 등 학교법인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14조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기관 또는 단체
- 대상 과제의 연구수행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기관, 법인 또는 개인
◦ (연구 책임자) 과제와 관련된 연구·개발활동 등 실적이 있는 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전문성을 가진 자
◦ (연구진 구성) 메이커 활동 경험자, 관련 연구 및 조사 경험자, 메이커 운동 활성화를 위한 관련 사업 경험자
□ 신청방법
◦ (신청서류) 연구개발과제계획서, 개인정보이용동의서 등
◦ (신청기한) 공고마감일 17:00까지
◦ (접수방법) 창의재단 사업관리시스템(http://pms.kofac.re.kr/pms.jsp)에 사업신청 후 우편으로 계획서 인쇄본 6부 제출
◦ (주의사항) 양식을 참조하여 연구목적, 추진방법, 일정 등 세부추진 계획과 성과활용 및 확산, 연구비 집행계획 등을 최대한 상세히 기술
[주의 사항]
○ 사업관리 시스템 접수는 과제신청 안내페이지(http://pms.kofac.re.kr) 참조
○ 책임자는 온라인 시스템 가입 후 사업신청, 소속기관 정보관리자(산학협력단 등)가 최종 승인 필요
○ ‘개인정보제공 이용 동의서’는 출력ㆍ서명 후 스캔한 이미지 파일을 등록
○ 마감시간 이후에는 신규 신청과 기 신청자료 수정이 불가함
3. 추진일정
□ 심사ㆍ선정 일정
◦ (기간) ‘16. 12월 2주 중
◦ (심사위원) 내‧외부 전문가 5인 내외로 심사선정위원회 구성
◦ (심사주안점) 과제에 대한 이해도, 제안내용의 실현가능성 및 기대성과, 연구진 구성의 적절성 및 사업수행역량, 예산계획의 적정성 등
□ 협약 등 후속 일정
◦ (결과발표 및 사업계획 조정) ~ 12월 2주
◦ (협약체결) ~ 12월 3주
◦ (중간발표회) ’17. 2월 말
◦ (최종발표회) ’17. 3월 말
* 연구의 주요 진척 사항 공유 및 연구방향과 관련한 세부사항에 대한 협의는 재단 사업담당 부서와의 정례협의를 통해 진행
[인쇄본 제출 및 관련 문의]
(06097)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602, 8층(삼릉빌딩) 임세진 선임연구원 (전화) 02)559-3827, (메일) limsejin@kofac.re.kr
[별도붙임] 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양식(개인정보제공이용동의서 등)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