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국제교육계획연구소(IIEP), 전 세계 교육계가 맞닥뜨린 10대 이슈 분석(2022.2.)
▶ 코로나19로 전 세계 교육계는 큰 어려움을 겪음. 그러나 2020년부터 수업이 재개되고 혼합학습 등 새로운 방식의 학습을 도입하며 교육은 한 단계 진화. 다만 당면한 해결과제도 많음
▶ 이에 유네스코 국제교육계획연구소(IIEP, Inter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는 전 세계 교육계가 마주한 10가지 교육 이슈를 분석하고, 자신들의 활동을 소개함. IIEP는 특히 형평성, 성별, 혁신, 계획, 교사, 탄력성 등 다각적 방면에서 역동적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
▶ IIEP가 주목한 2021년 주요 이슈는 다음과 같음
* 양성평등,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라틴아메리카 및 아프리카 지역 전문성, 해킹 EDplanning 진행(해커톤), 유연한 학습 경로 및 기술, 난민 상황에서의 교육, 윤리와 부패, 학교 중견 지도자, 도시와 교육 2030(연구), 더 강한 미래를 위한 회복탄력성 마련
▽ 세부 내용
1. 양성평등
: IIEP는 성별 불평등이 남녀 모두에게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지는 지를 검토. IIEP은 성인지교육에 대한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 분석을 진행.
* 상호교차성: 성별, 젠더, 인종, 민족, 계급과 같은 사회 불평등 요소를 상호교차시키며, 복합적인 관점으로 차별을 고찰하는 개념. 여러 사회 불평등 요소가 중첩되고 상호작용하며, 한 개인에게 특권이나 억압 등으로 나타나는 현상 등을 다룸. 예를 들어, 같은 성별이라도 인종이나 계급 등에 따라 받는 사회적 억압은 다르게 나타나는데, 상호교차성은 이러한 부분에 주목함.
2.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
: 원격 혹은 혼합 수업 시, 장애가 있는 학습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이니셔티브들이 등장. 방글라데시의 ‘멀티미디어 토크북’이 대표적인 예. IIEP는 대화형 툴킷을 통해 통합교육 학습환경 조성을 지원할 예정.
3. 라틴 아메리카 및 아프리카 지역 전문성
: IIEP가 설립한 아프리카 지역 사무소가 얼마 전 창립 20주년을 맞음(2001년 설립). 이는 아프리카 최초의 교육 분야 분석 전문 센터로서, 많은 성과를 거둠. 한편 남미에서는 2021년 11월 진행된 지역교육정책포럼을 통해 정보 시스템의 역할을 고찰함.
4. 해킹 EDplanning 진행
IIEP는 교육 계획 및 관리에 대한 오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커톤 ‘해킹 EDplanning’을 진행. 대회에선 6개의 디지털 도구를 활용, 급여만 받아가는 ‘유령 교사’를 식별하는 방법 등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됨.
5. 유연한 학습 경로 및 기술
: 말레이시아 연구원들은 ‘고등 교육이 어떻게 학습자에게 미래 일자리를 대비토록 하는지’를 살펴 봄. 여기서 미래 일자리는 사이버 보안, 빅 데이터, 로봇 공학과 같은 분야를 뜻함. 장애인, 미혼모를 포함한 취약계층의 고등교육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
6. 난민 상황에서의 교육: “우리는 여기서 가르친다”
: IIEP와 교육개발신탁(Education Development Trust)은 공동으로 단편 영화 “우리는 여기서 가르친다(We teach here)”를 제작. 이를 통해 에티오피아 감벨라 난민 캠프에서 일하는 남수단 초등교사 3인의 삶을 공유.
7. 윤리와 부패
: IIEP는 Open School Data를 통해 교육 분야의 부패를 바로잡는 방법을 제시. Open School Data는 학교 기금, 학생 수, 교사 수, 시설 등의 정보를 공유해 교육 분야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 IIEP는 교육분야 윤리, 교육의 부패를 다루는 온라인 플랫폼인 ETICO도 공개.
8. 학교 중견 지도자
: IIEP는 델리(인도), 르완다, 상하이(중국), 웨일스(영국) 등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학교 중견 지도자들을 조명. 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해 급변하는 교육 시스템을 안정시키는 주역임.
9. 도시와 교육 2030
: 교육 계획, 교육 기회 제공 측면에서 도시 중심지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 2021년 IIEP는 3개 대륙, 5개 도시에서 ‘도시와 교육 2030’에 대한 국제연구를 발족.
10. 더 강한 미래를 위한 회복탄력성 마련
: 2021년 많은 교육 시스템이 대면 학습을 재개하기 시작. 이에 기획자 및 정책 입안자들은 ‘위기에 대응하는 동시에, 미래를 계획하기 위한’ 준비에 나섬. IIEP는 각국 교육부를 지원하는 한편 위기대응포털(crisis planning portal) Education4Resilience을 업데이트 해 회복탄력성 마련에 동참.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