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AC ISSUE PAPER 2025-5]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맞춤형 교원 연수 지원 챗봇 개발
■ 디지털 전환과 교육의 변화
온라인 교육은 시간과 지역에 상관없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AI 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으로 인해 이러한 변화가 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학습자에게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며,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디지털 교육의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황재운 등(2024)은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체계에 따라 구분하였다. 미시 체계에서 중간 체계, 외체계에 이르는 부분은 학교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도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주목해 볼 만하다.
■ 디지털 인재 양성과 인공지능·데이터 과학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은 디지털 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직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업무 자동화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직업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을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학생은 첨단 기술을 직접 경험할 기회를 제공받게 되며, 미래의 인재가 직업 세계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은 교육 혁신을 이끌고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학생은 자신에게 맞춰진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학습 경험을 할 수 있으며, 변화하는 사회와 직업 세계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정책과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도약 포인트이다.
관련 이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북과 PDF 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김종범 SW·AI인재양성팀 선임연구원
<KOFAC ISSUE PAPER>는 과학기술문화, 과학융합인재, 과학·수학·정보 교육에 관한 주요 현안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정책제언을 함으로써,
미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발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