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공공 영역 ‘탄소 중립’ 위한 첫걸음 기후 위기 대응 위한 표준 설정
뉴질랜드 정부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기후 위기가 인류를 위협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공공 영역에서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첫걸음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 주요동향
뉴질랜드 정부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까지 공공 영역에서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고 12월 2일 밝혔다.
탄소 중립은 기업이나 개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흡수량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7월 탄소 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가 발족됐다.
뉴질랜드 정부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공공 부문 석탄 보일러 교체에 자금을 지원하고, 가솔린 자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즉각 구매를 지원하는 등 탈탄소화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뉴질랜드에서는 공공 부문 기관이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공개 보고하며, 2025년까지 감축 불가능한 부분은 상쇄하는 한편, 탄소 중립을 위해 달성해야 하는 표준을 설정하고 이에 맞춰 실제 사례를 만들어낼 예정이다.
■ 현황분석
우리나라 역시 파리 협정 당사국으로 올해 6월, 국회에서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단체장들이 모여서 기후 위기 비상을 선언했다. 2050년 탄소 중립을 설정해 실질적인 행동을 시작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 계획을 공개 선언한 국가는 120개, 도시는 449곳이다. 저탄소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출해야하는 현 시점에서 다양한 과학문화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 시사점
우리나라에는 14개 부처로 구성된 기후변화 대응 범정부 협의체가 있으며,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전 국민 의견수렴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탄소성적표’ 인증제도를 도입해 제품 및 서비스 생산, 수송, 유통, 사용, 폐기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공개하고, 이를 줄일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개인이나 단체가 직간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의미하는 ‘탄소 발자국’ 개념을 2006년 도입했다. 이를 통해 개인별, 제품별 탄소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수치화된 탄소배출량을 관리해왔다.
탄소배출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참신한 감축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하며, 이 과정에서 과학기술 및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