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불평등… 학생참여, 다양성 확립으로 해결해야 (2022.1.12.)
▶FEA(Fair Education Alliance)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와 교육 전반의 변화가 학업성취도 격차를 심화시킴
▶ 락다운 이후 소외계층 어린이그룹은 읽기, 쓰기, 수학 부분에서 일반 어린이 그룹보다 약 20% 저조한 성취율을 기록하였고, 중등 교육 또한 연도별 차이는 있으나 소외계층과 그렇지 않은 계층의 학업성취도 격차가 증가함
▶ 학업성취도는 상급학교 진학 및 취업가능성과 큰 연관이 있어 학업성취도 격차가 커지는 것은 우려스러운 현상이며, 특히 소외계층의 낮은 과학성취도는 미래의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인력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교육 불평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특히 STEM 분야에서 프로젝트, 직업 카운셀링 등의 기회를 소외계층 학생에게 먼저 제공할 필요가 있음
- 긍정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신감을 회복하고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방법임
▶ STEM 분야 교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필요함
▶ 다양성과 포용성을 통해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 평등을 확산하기 위해 학부모, 교사, 전문가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학교교육에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