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AI 교육, 중요성 비해 실천 역량 부족해”… K-12 AI 교육 현황 보고서 발표
▶유네스코(UNESCO)는 ‘K-12 AI 교육과정: 정부지원 AI 교육과정 매핑(K-12 AI curricula : A mapping of government-endorsed AI curricula)’ 보고서를 발표. 이는 전 세계 K-12 인공지능(AI) 교육과정 현황을 다룬 첫 보고서임.
▶ AI는 미래 사회를 이끌 핵심기술 중 하나. 특히 AI 윤리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전 세계 학생들은 AI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함. 그러나 관련 커리큘럼을 설계할 역량과 정보를 가진 나라는 많지 않음. 보고서에 따르면, K-12 AI 교육과정을 개발·승인한 나라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총 11개국*에 불과. 개발 단계에 있는 나라도 4개국** 뿐임.
* 대한민국, 아르마니아, 호주, 벨기에, 차이나, 인도, 쿠웨이트, 포르투갈, 카타르, 세르비아, 아랍에미리트
** 독일, 요르단, 불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 이에 유네스코는 2021년부터 TAL 교육 그룹과 공동으로 ‘K-12 학년을 위한 AI 커리큘럼 가이드 프레임워크’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 유네스코는 또한 AI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민간(비정부) AI 커리큘럼* 활용 메커니즘을 구축할 것”을 촉구
*민간기관AI 커리큘럼 : [IBM]EdTech Youth Challenge, [Microsoft]AI Youth Skills, [Intel]Global AI Readiness Program(high tech track/ General Track), [MIT]DAILy Curriculum 등
▶ 각국의 AI 교육과정은 주제 영역에 따라 9가지*로 구분. 이는 AI 윤리권고(Recommendation on th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와 교육에 대한 베이징 합의(Beijing Consensus on AI and Education)*** 등을 통해 강조된 ‘AI 문해력’ 및 ‘AI 역량 개발’에 대한 의지를 표현한 것
*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데이터 문해력, 상황별 문제해결, AI의 윤리, AI의 사회적 함의, AI를 다른영역에 적용하기, AI기술의 이해 및 사용, AI기술의 이해 및 사용, AI개발
** 유네스코가 2021년 11월 제41차 총회에서 채택한 세계 최초 AI 국제표준지침
*** 2019년 베이징 국제인공지능교육회의를 바탕으로 채택된 AI 교육에 대한 권고안
▶ "AI 문해(literate)를 위한 지식, 이해력, 기술은 이제 시대의 기초적 문법(a basic grammar)이다.“
- 스테파니아 지아니니(Stefania Giannini) 유네스코 교육담당 부국장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출처표시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