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검색

  • 프린트출력하기

동향리포트

AI 연구 구심점, ‘국가 AI 연구거점’ 출범
원문제목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분야국가별정책주제SWAI교육
유형단신발행일2024-10-28
등록일2024-10-28작성자장미경 선임연구원
조회6262추천NaN추천하기

AI 연구 구심점, ‘국가 AI 연구거점출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102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I 허브에서 국내외 연구진의 AI 공동연구 장이 될 국가 AI 연구거점’(National AI Research Lab) 개소식을 개최했음

 

국가 AI 연구거점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연구 구심점으로 기능할 예정임. 과기정통부는 국가 AI 연구거점을 통해 국내외 연구진이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AI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고, 국제 AI 지도자 양성 및 AI 분야의 산학연 생태계를 집약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계획이라고 밝힘

 

연구 거점 구축과 운영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고려대·연세대·포스텍 컨소시엄이 수행할 예정임

 

과기정통부는 국가 AI 연구거점을 통해 미국, 캐나다, 프랑스, 아랍 에미리트 등 해외 유수 기관의 연구자들이 일정 기간 국내에 상주하면서 뉴럴 스케일링 법칙 초월연구,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 등 국제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국제 발표회 정기 개최 등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구축·확장할 예정이라고 밝힘

 

- 뉴럴 스케일링 법칙 초월 연구 : AI 모델 훈련과 운용에 필요한 비용 곡선의 법칙(뉴럴 스케일링 법칙, Neural Scaling Law)의 한계를 초월하는 성능과 효율성을 위한 새로운 학습 방법·모델을 개발하는 연구임.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 주도로 진행됨

 

-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 : 인지, 의사결정, 제어 등 차세대 AI 로봇의 자율성 관련 핵심 구성 요소를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통합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연구임. 미국 코넬대 연구진 주도로 진행됨

 

이를 위해 정부는 2028년까지 국비 440억 원, 현금·현물 매칭 506억 원 등 총 946억 원을 투입해 지속 가능한 거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임 

 

정부는 지난 9월 민관 AI 협력 구심점인 국가 AI 위원회’, 한미 국제 AI 연구개발 교두보인 국제 AI 개척자 연구소(프론티어랩)’를 출범했음

 

이날 진행된 국가 AI 연구거점개소에 이어, 오는 11월에는 AI 위험에 대한 체계적 대응을 위해 ‘AI 안전연구소’를 출범할 예정임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빠른 이동 메뉴

QUICK

    • 유튜브 바로가기
    • 네이버블로그 바로가기
    •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페이스북 바로가기
    • 고객지원센터

      02-55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