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F, 우리나라 온라인교육 사례 소개 선진 IT 인프라에 부합한 시스템 변혁 필요
WEF는 지난 11월 13일 게재한 논고에서 한국이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와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과 교사들이
현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 불만이 높다고 비판하며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해 장기적인 사고와 체계적인 변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 주요동향
WEF(World Economy Forum)은 11월 13일 게재한 논고를 통해 우리나라의 온라인교육 사례를 소개하며,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촉발된 온라인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적인 사고와 체계적인 시스템변혁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WEF는 “한국의 4G 통신망 구축은 99%, 가정의 컴퓨터 보급률은 75%, 인터넷 접속률은 99.4%로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 보유하고 있으며, 덕분에 온라인 교육이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WEF는 “한국 정부가 교육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수백만 명이 접속할 수 있는 ‘e-러닝 플랫폼’ 구축, ‘선도교사 1만 명 커뮤니티’ 등 교사의 역량 강화,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있다”며 한국의 우수성을 언급했다.
하지만 WEF는 “이러한 선진 IT 인프라와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37.9%가 수업의 질에 불만족하고 있다”면서, 그 원인으로 온라인 교육 플랫폼과 교육 콘텐츠 등이 미비하다는 점을 꼽았다. 한국 정부는 학생들의 인프라 접속률 제고 정책을 중점적으로 펼치고 있지만, 이에 부합한 교육 플랫폼과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WEF는 미래교육으로 공감대를 얻고 있는 ‘하이브리드택트(hybridtact)’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첫째, 온라인교육 시스템의 필수기술(플랫폼, AI, 클라우드 컴퓨팅 등)에 대한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개발과 온라인 교수 및 학습에 대한 교원-학부모-학생들의 태도, 인식변화, 문화가 조성돼야 하며, 둘째, 온라인 교육 정책의 중심이 인프라 구축에서 교원양성 및 교육 커리큘럼, 대학제도 개혁 등 사회 SW구축으로 이동해야하며, 셋째, 교육기관 간 온라인 표준화를 촉진하기 위한 법률과 제도를 제정해 온라인교육의 질적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 시사점
WEF는 우리나라의 온라인 교육정책에 대해 인프라 구축 등 이미 최고 수준에 도달해 있는 하드웨어 개선에 치중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온라인교육에 대한 학생-교사-학부모의 태도 및 인식 변화, 역량을 갖춘 교원 양성, 하이브리드 교육 커리큘럼의 개발 및 관련 법과 제도 정비, 대학 제도개선 등 WEF가 제시한 방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