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검색

  • 프린트출력하기

동향리포트

기후변화 문제에 관한 AI의 양면성 논의
원문제목Climate Crossroads Summit 2024
출처https://www.nationalacademies.org/event/41975_07-2024_climate-crossroads-summit-2024
분야유관기관동향주제과학융합인재
유형단신발행일2024-07-17
등록일2024-08-09작성자장미경 선임연구원
조회7151추천0추천하기

기후변화 문제에 관한 AI의 양면성 논의

 

최근 개최된 National Academies ‘Climate Crossroads Summit’ 세션에서는 기후변화 문제 대응과 관련하여 AI 기술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됨

 

AI는 기후 모델링, 전력망 운영 최적화 등 기후변화 대응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AI 연구 진행 과정에서의 에너지 소비로 인해 화석 연료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오히려 기후변화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토론 참여자들은 지난 20년간 AI 기술이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유의미한 통찰을 도출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루었다고 언급하면서 AI가 기후 변화 대응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날씨 예측, 전력망 최적화, 과학적 발견 가속화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음

 

반면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AI는 석유와 가스 탐사 추출을 가속화하고 소비 패턴을 변화시키는 광고에도 사용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I 개발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진행됨

 

패널들은 AI 개발과 데이터 수집의 공정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AI가 글로벌 남북 간 디지털 격차를 확대하고 있으며 취약계층을 고려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음

 

이와 함께 AI 도구를 개발하는 커뮤니티가 주로 특권층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교육과 역량 강화를 통해 AI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음

 

더불어 기후 분야에서 개방형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정부와 민간 부문이 데이터 공개를 촉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음. 토론 참여자들은 AI 모델을 개발할 때 에너지 소비를 투명하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이면서 AI 모델이 지역적 특성에 맞춰 조정되어야 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음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빠른 이동 메뉴

QUICK

    • 유튜브 바로가기
    • 네이버블로그 바로가기
    •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페이스북 바로가기
    • 고객지원센터

      02-55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