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UAE), 4세부터 모든 어린이에게 AI 교육 의무화 추진
UAE, 전 세계적으로 AI 교육을 전 학년에 걸쳐 시스템화한 최초의 국가임을 선언
▶UAE 교육부는 2026년도부터 미래를 대비한 교육을 위해 공립학교의 유치원(만 4세)에서 12학년까지 정식 교과목으로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고 발표함
※ 현재 11세에서 16세 학생들은 AI 기반 챗봇, 번역 도구, AI 생성 미디어 프로젝트와 같은 창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고 있음
▶이러한 인공지능 교육은 이론과 실습으로 학습되기보다는 다양한 교과에 걸쳐 융합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으로 수천 명의 교사가 재교육을 수반할 예정임
※ 교육부는 자세한 수업 계획과 가이드라인 등 종합적인 지원 자료를 교사들에게 제공해 효과적인 커리큘럼이 구현되도록 지원 예정임
▶교육부는 AI 커리큘럼이 학생들의 성장에 맞춰 점진적으로 진화되도록 설계하였으며, 7개 핵심 영역* 걸쳐 내용을 구성하였다고 밝힘
* AI 기초 개념, 데이터와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사용, 윤리적인 AI 활용, 실생활 응용 사례, 혁신 프로젝트 설계, 정책 및 커뮤니티 참여
- 유치원 : 이야기, 게임 등을 통해 ‘기계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디지털 도구의 작동 방식 등을 탐색
- 초 등 : 인간 사고와 기계 지능의 비교, 초기 알고리즘 탐색, 데이터 활용에 대한 의문 제기
- 중 등 : 기본 프로그래밍, AI 도구 평가, 알고리즘의 편향성과 공정성 등의 개념 학습
- 고 등 : 실제 AI 시스템 시뮬레이션, 명령 엔지니어링, 윤리적 AI 설계 등 고급 주제 학습
▶이번 커리큘럼은 단순한 기술 교육을 넘어 AI가 사회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이해와 비판적 사고, 윤리적 판단 능력 그리고 실제적 영향을 탐구하는 교육을 목표로 구성함
▶전 세계적으로 AI는 현재 교육 분야에서 가장 논쟁적인 주제로 미국, 영국 등에서 도입 방식 및 시기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다만, 이를 정책 및 구현되는 방식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음.
※ - 영국 : AI 학습 도구를 시범 도입하는 동시에 알고리즘 편향, 데이터 오용 등의 위험성을 검토
- 미국 - 학생 개인정보 보호 및 스크린 노출 문제를 고려하면서 AI 리터러시 교육 도입 논의
- ‘25년 4월, 백악관 행정명령을 통해 K-12 교육에 AI 리터러시 도입, 교사 훈련, 민관 협력을 통한 조기 AI 교육 정책을 추진
(관련 기사(KOSAC 동향리포트 2025-05-02) : 미국, 인공지능(AI) 교육 의무화 행정명령 서명)
▶최근 UAE 정부는 최초의 통합 규제 정보 시스템 구축에 승인하면서 새로운 법률 제정 및 검토를 첨단 AI로 구성하는 등 인공지능 분야에 글로벌 강자로 자리매김
(관련 기사(KOSAC 동향리포트 2025-04-25) : AI로 법 개정까지… UAE, '인공지능 입법부' 첫 도입)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