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의 선도적 과학문화 활동 지원으로 역량 있는 과학문화 민간 주체를 발굴‧육성하여 자생적인 민간 과학문화 생태계 조성
과학기술문화 관련 민간 기관·단체 등
’25.1월 ~ 12월
과제 공모(2월 말~3월), 선정 및 협약(~4월), 모니터링 및 컨설팅(6~10월), 성과교류회(11월~12월), 사업 성과 평가(12월)
선도형 과학기술문화 활동 과제를 추진할 수 있는 민간기관을 선정·지원
과학기술계의 대국민 과학 소통·참여 활성화 및 민간 단체의 새롭고 실험적인 과학기술문화 활동 발굴·지원 강화
상향식자율과제 및 과학기술계 참여 확대
과제의 특성에 맞는 전문가매칭컨설팅 지원 강화
민간의 우수 사업 모델 발굴 및 사례화
* 부산, 대전, 충북, 경남, 인천, 세종, 경기, 강원, 경북, 전남, 전북, 제주 12개 지역은 과학문화 거점센터의 「민간과학문화활동지원」 사업을 통해 지원
** 공모 지원 단체·기관의 사업자등록증 소재지 기준
전 국민의 과학문화 향유 기회 확대 및 지역과학문화진흥 생태계 구축
광역자치단체(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
`25.1.1. ~ 12.31.
연중 운영(기관별 자체 운영)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12개* 운영
* 부산, 인천, 대전,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역 과학문화 활성화를 도모하고, 전 국민의 지역 격차 없는 과학문화 향유 기회 확대와 지역 주도의 자생적 과학문화 생태계를 구축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역 과학문화 사업을 총괄 기획‧운영하는 실행조직으로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를 지정‧운영
①지역 과학문화 정책수립 지원,
②개인, 민간, 동아리 등 다양한 과학문화 주체를 발굴‧지원,
③지역의 특화사업을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참여를 확대하는 등 지역 과학문화 활동의 구심점 역할
※ 지속적이고 자생적인 지역 과학문화 추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자체 예산 1:1 매칭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지자체에서 추가 대응 자금 가능)
지역과학문화 거점센터 12개 기관 참여, 민간 단체 75개 지원, 전문인력 996명 양성 및 프로그램 859개 운영 등
생활과학교실 등 과학문화확산사업 연계·확장을 통한 지역 과학기술문화 거버넌스 중심 기능 수행진
지역을 중심으로 생활과학교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지역 과학문화 거점센터를 중심으로 한 관리체계 수립 추진
지역별 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지역 특화 유형별 거점센터 자율과제 지속 발굴
지역 과학문화 거점센터 브랜딩 및 사업관리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