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정보과 교육과정 안착을 위해 특화된 정보교육을 운영하는 AI·정보교육 중심학교 운영 지원
초·중·고·특수학교 664개교(예정)
컨설팅(6월), 만족도 조사(11~12월중) 및 성과확산 지원 등
정보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기반의 다양한 AI·정보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디지털 교육공간 구축 등을 수행하는 학교
① (교육활동 모델교) 지역·학교별 여건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AI·정보교육과정 우수모델 개발·운영
② (정보교육 환경 모델교) 유휴교실 등을 활용하여 타교과 융합, AI 탐구 활동 등이 가능한 디지털 공간을 구축하고, 다양한 AI·디지털 교육 활동을 운영할 수 있는 학교
2022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 안착을 위해 정보 수업 확대 및 다양한 교육과정 모델 개발 추진
교과융합 AI교육, AI 탐구활동 등이 가능하고 창의적・ 유연한 사고를 기를 수 있는 디지털 교육환경 구축
특성화고의 SW·AI 교육 강화를 통해 디지털 신산업 분야를 선도할 산업수요 맞춤형 실무인재 조기 양성
공모를 통해 선정된 2개 특성화고등학교(2025년 신규 공모 2개교 지원 예정)
사업 운영교당 40백만원(총 80백만원)
2025. 3. ~ 2025. 12. 31.
공모·선정(2~3월)/ 착수워크숍(3월)/ 컨설팅 및 사업운영(3월∼12월)/ 최종평가(12월) 예정
SW·AI분야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심화 교육과정 운영, 교원 SW·AI 교육역량 및 전문성 강화 등 우수 성과 창출·확산
- (교육과정) 디지털 신산업 중심의 교육과정 및 특화 프로그램 운영, 자격취득 지원 등 실무역량 함양 교육과정 운영
- (교원역량 강화) 전문 교육 이수 등을 통한 디지털 신산업 분야 교사 역량 강화 및 산학겸임교사 활용 등으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분야 전문성 제고
- (성과창출·확산) 디지털(SW·AI) 신산업 관련 맞춤형 현장실습, 취·창업 지원 등 취업 연계 활동 강화로 특성화고의 우수 운영성과 창출·확산
2024년도 특성화고 SW·AI교육 지원사업을 통해 수혜 학생 만족도 4.66점 달성
2025년 SW교육 페스티벌 내 부스 운영을 통한 학생 현장 경험 제공 및 특성화고 SW·AI교육 지원사업 성과 확산
디지털 신산업 중심의 교육과정 및 특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SW·AI 실무역량 함양 교육 모델 발굴 및 성과 확산
특성화고 교원 맞춤형 연수 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특성화교 교원의 SW·AI 역량 강화 및 특성화고 SW·AI 융합 교육 확산
특성화고 학생별 맞춤형 체험 프로그램 제공 및 교원 대상 기업 연계 프로그램을 통한 학교 밖 SW·AI 교육 기회 제공
정보교육 발전에 기여한 교원을 발굴·포상하여 현장의 우수한 교육 사례의 전국 단위 확산 및 교원의 자긍심 고취
정보교육 발전에 기여한 초등학교 교원 및 중‧고등학교 정보교원으로 근무 중인 자
10명 이내
운영계획 수립(교육부/창의재단) → 학교장 추천대상자 시도교육청 제출(학교→교육청) → 시도별 추천대상자 제출(시도교육청→재단) → 서류 및 면접 심사(창의재단) → 수상자 발표 및 시상(창의재단)
정부 국정과제* 및 제2차 정보교육 종합계획 등 효과적인 디지털 교육정책 추진을 위해 중앙단위의 정책지원단 구성·운영
* (국정과제 81-5) 초등단계부터 학생의 가정 배경, 교육 여건 등에 따른 디지털 교육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체험 중심의 학생 맞춤형 정보교육 지원
`25.1월 ~ ’25.12월
디지털·정보교육 관련 국가단위 사업에 대한 정책 협의 및 시도별 정책 추진 현황 공유 등
제2차 정보교육 종합계획 이행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 현안 논의
정보교육 추진 정책 효과 점검, 17개 시·도 우수사례 및 성과 공유를 통한 상호 발전 협력 지원 등
지능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미래 핵심역량인 AI 기초소양 함양을 위해 접근이 용이한 온라인 플랫폼 기반 교육기회 제공
초·중·고 학생, 대학생, 일반인 등 인공지능에 대해 배우고 싶은 전 국민 누구나
‘21년~ 현재까지
콘텐츠 개발사 공모 및 선정(`25.3월 ~ 4월) → 콘텐츠 개발 및 시범운영(`25.5월 ~ ’25.10월) → 콘텐츠 만족도 조사 및 성과분석(`25.10월 ~ ‘25.12월)
- 초등 AI 교육 SAI: 가디언 기억 찾기 대모험, 실과[모모의 신비한 AI 상점]
- 중학 AI 교육 SAI: 도트밸리 속 버그를 잡아라, 정보[S.O.S 세계수를 구하라!]
- 고교 AI 교육 SAI: 인공지능 기초, 데이터 과학, 소프트웨어와 생활[Change Future!]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다양한 교과의 성취기준과 연계하여 AI교육 디지털 콘텐츠 개발
중학교 정보 수업에서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콘텐츠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교과 내용을 AI기술과 접목하여 다양한 유형의 실습으로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
- AI교육 담당교사 및 전문가 대상으로 현장적합성 검토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 환경에 최적화된 콘텐츠 관리
kofac.re.krhttps://sai.software.kr/
SW·AI교육 인정교과서 및 교재 보급을 통한 정보 교육 활성화 및 중·고교 학생의 학습 선택권 확대
초·중·고 학생, 교사
18년 ~ 현재까지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재단 발간 인정교과서 7종(현 중·고생 2, 3학년 대상 2026년까지 사용 가능)
구분 | 학교급 | 과목 | 구분 | 인정시도 |
---|---|---|---|---|
1 | 중학교 | 인공지능과 미래사회 | 선택 | 서울 |
2 |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 선택 | 충남 | |
3 | 고등학교 | 인공지능과 미래사회 | 진로선택 | 서울 |
4 | 정보과제 연구 | 전문교과1 | 광주 | |
5 | 사물인터넷 | 진로선택 | 부산 | |
6 | 데이터과학과 머신러닝 | 진로선택 | 대구 | |
7 | 수리와 인공지능 | 진로선택 | 광주 |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재단 발간 인정교과서 재개정 4종(2025년 1학년부터 적용)
구분 | 학교급 | 과목 | 구분 | 인정시도 |
---|---|---|---|---|
1 | 중학교 | 문제 해결과 프로그래밍 | 정보교과 | 인천 |
2 | 고등학교 | 인공지능과 미래사회 | 정보교과 | 서울 |
3 | 정보 과제 연구 | 정보교과 | 광주 | |
4 | 수리와 인공지능 | 정보교과 | 광주 |
-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초1/4학년, 초5/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 기초, 심화) 총 5종 개발 (학생용, 교사용)
- 국어(1/2학년, 3/4학년), 수학(1/2학년, 3/4학년), 통합교과(1/2학년), 사회·도덕(3/4학년), 과학(3/4학년) 총 7종 (학생용, 교사용)
SW중심사회포털(kofac.re.kr) ‘교재’ 및 ‘교육 자료’ 참고
교원들이 디지털 대전환의 방향을 이해하고 AI 디지털교과서를 수업혁신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원양성대학의 지원 역량 강화
`24. 9.~`25. 11.
교사가 이끄는 교실혁명 교원 역량 체계를 기반으로 (예비)교원의 AI DT 적용 교과별 실습 지원 체계 구축
연수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참여대학 상호 성장 지원, 예비 교원의 디지털 기반 수업 혁신 역량 강화 지원, 마이크로디그리형 연수 프로그램 개설 지원, 참여주체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사업 효과 전국 확산
교원 양성 대학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6개
사업 기본계획 및 사업 공고(`24. 9월)→중간 성과공유회(`24. 12월)→질 관리/성과 공유(연중)→최종 성과공유회(`25. 6월)
권역별 교원 양성대학 컨소시엄을 구축‧운영하여 컨소시엄 내‧외의 교류·협력을 통해 AIDT 연수 노하우 공유 및 성과 확산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AIDT 활용 교육을 반영하여 예비 교원의 수업 혁신 역량 강화 지원
교육청 연계형 교원 특별연수(마이크로디그리)과정을 개설하여 교원의 자기주도적 성장 및 생애주기별 평생학습 지원
교육부-시도교육청-창의재단-대학 컨소시엄 간 협력체계 구축 및 중앙·권역 협의체 구성을 통해 사업 성과 공유‧확산 강화
학교 현장의 디지털 격차 해소 지원 및 디지털 친화적인 환경을 위한 인적 인프라 조성 지원
전·현직 디지털튜터 및 근무 희망자, 디지털튜터 교육 신청 및 이수자, 디지털튜터 사업 운영교 교원 등
`24년 ~ 현재까지
학교 디지털 기반 수업 지원을 위한 디지털튜터 양성 및 디지털튜터 활용 학교 지원 등 추진
① (디지털튜터 양성) 디지털튜터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튜터 활동 희망자 대상 온·오프라인 교육 실시
② (디지털튜터 활용 지원) 정책 협의회 운영 및 디지털튜터 활용 학교 대상 컨설팅, 정책 홍보 등 사업 관리 지원
③ (디지털튜터 인력풀 운영) 디지털튜터 양성 교육 안내 및 신청, 디지털튜터 인력풀 등록, 학교 채용공고 홍보 등 디지털튜터 사업 지원을 위한 홈페이지(dt.kosac.re.kr) 운영
학교 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현장 적합성 강화 및 양질의 튜터 공급
디지털튜터 운영 및 희망 학교 대상 컨설팅 등 현장 중심 맞춤형 지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