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국민이 생활권내에서 과학을 체험할 수 있도록 생활주변시설에서 체험형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국민의 과학기술 관심 및 이해도 증진, 지역・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
전 연령(유아, 청소년, 성인, 노인 등)
’25.1.1 ~ 12.31
지역별 운영센터 협약체결(~3월), 전국 지역운영센터에서 생활과학교실 운영(일정은 센터별로 상이, ~12월)
사회적 배려계층 및 일반 대상으로 생활과학교실 강사가 교육장을 방문하여 체험형 과학교육 수업 운영
- 첨단・기초 과학기술, 지역 특화 등 5,055개 프로그램으로 46,461회 수업 운영으로 총 191,640명 수혜(’24년 기준)
구분 | 참가비 | 참여 대상 | 교육장 |
---|---|---|---|
나눔 과학교실 | 전액 무상 | 사회적 배려계층 등 (전연령) | 아동・노인・장애인 복지시설, 다문화가족지원시설, 학교 돌봄교실, 도서벽지 학교 등 |
창의 과학교실 | 재료비 유상 | 일반 (전연령) | 주민센터, 문화센터, 도서관, 학교, 문화시설 등 |
지방자치단체 협력으로 전국 30개 지역운영센터에서 관할 지역내 생활과학교실 운영
- 전국 생활과학교실 강사 913명 활동, 전국 160개 시군구, 1,038개 읍면동, 2,599개 교육장 파견(’24년 기준)
수도강원권 | 중부권 | 호남권 | 영남권 | ||||
---|---|---|---|---|---|---|---|
서울 | 한국여성과학인발전연구회 | 대전 | 충남대학교 | 전북 | 군산대학교 | 부산 | 부산과학기술협의회 |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 세종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 전북 | 전북과학대학교 | 대구 | 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
경기 | 상록청소년수련관 | 충북 | 충북대학교 | 전북 | 전북대학교 | 울산 | 울산대학교 |
경기 | 한국항공대학교 | 충북 | 한국교통대학교 | 전남 | 목포대학교 | 경북 | 구미전자정보기술원 |
인천 | 인천대학교 | 충남 | 건양대학교 | 전남 |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 경남 | 인제대학교 |
인천 | 한국코딩드론메이커스 | 충남 | 공주대학교 | 전남 | 순천대학교 | 경남 | 창원대학교 |
강원 | 강원대학교 | 충남 | 선문대학교 | 제주 | 제주과학문화협회 | 경남 | 한국실크연구원 |
강원 | 강릉원주대학교 | 충남 | 순천향대학교 | - |
과학문화 소외지역 및 계층 대상 과학문화 체험 기회 제공을 통한 격차 해소 기여 및 사회적 가치 창출
(온라인바우처) 경제적 소외계층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찾아가는바우처) 소외지역(도서벽지학교), 장애인, 한부모, 다문화 가정 등 과학문화 소외계층
’25.1월 ~ 12월
- 찾아가는 바우처 운영 기관 선정·등록(~3월) 및 온라인바우처 포인트몰 입점 등록(~4월)
- 소외지역·계층 대상 ‘찾아가는 바우처’ 연간 추진 (4~11월)
- 온라인바우처 수혜자 모집·선정(4~5월) 및 사업운영‧온라인 포인트 사용 모니터링(6~9월)
- 사업 결과보고 및 성과 환류(12월)
경제적 소외계층 3.6만 명 대상으로 1인 5만 원의 바우처(온라인 포인트) 지원
과학문화바우처 전용 온라인 포인트몰에서 과학교구, 과학공연, 전시, 도서 등 과학문화 관련 상품 구매 및 이용
수혜기관 1:1매칭 및 소외지역 과학축제 개최 등을 통한 소외지역·계층 대상 과학체험·전시·강연 프로그램 제공
바우처 지원대상 확대(6.8만명→7.1만명)
찾아가는 바우처 지원 비율 확대(’24년 4억→’25년7억), 공공바우처 협의회 연계 공동사업 및 소외지역 과학축제 개최 등을 통한 수혜 확대
(온라인바우처) 전문 MD를 활용한 우수 과학교구 추가 발굴 및 모니터링·심의 강화
(찾아가는바우처) 지역·대상 맞춤형 프로그램 발굴 및 심사 강화를 통한 프로그램 품질 제고
과학문화바우처(https://scivoucher.kofac.re.kr)참조
과학문화시설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이 부족한 지역의 과학문화 서비스 도달격차 해소를 위한, 찾아가는 과학체험 프로그램 운영
과학문화시설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이 부족한 지역 주민(도서․ 벽지 등 과학문화취약지역 포함) 및 해당 지역을 방문한 국민
’25.1.1. ~ ’25.12.31.
- 개최규모 : 총 5회, 30일 이내 운영(회당 6일 내외)
- 운영방법 : 한국과학관협회 운영
- 운영내용
구성 | 세부내용 |
---|---|
관람체험 | ⚬(실내) 이동형 과학기술 작동체험물(플레이사이언스) 및 VR·AR콘텐츠 체험 등 ⚬(실외) 과학행사차량(싸이휠) 탑재 인터랙티브 콘텐츠 체험 등 |
과학교실 | ⚬과학실험·실습 및 공작, 조립, 관측 등 과학교육 프로그램 운영 |
과학공연 | ⚬과학마술쇼 및 과학퀴즈쇼 등 관람객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
과학문화 소외 지역ㆍ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과학전시·교육 등의 과학문화 종합체험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과학문화 격차해소에 기여
찾아가는 과학관 10회 개최, 94일 운영, 9,703명 관람 및 만족도 93.1점 달성
지역 간 문화생활서비스 격차 해소가 시급한 과학문화소외지역 우선 개최 등 정부의 지역 정책 동향을 반영한 개최지 선정
과학문화 소외계층 발굴 및 초청을 통한 수혜자 확대
과학기술문화 프로그램 발굴 및 유사 사업·기관 간 연계 강화를 통한 참여 지역주민의 체험 만족도 제고
과학기술과 사회의 소통, 지식의 융합을 선도하는 과학축제를 개최하여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이해 증진 및 지지기반 구축
과학기술계 전문가, 연구자, 초·중·고·대학생, 학부모, 교사 등 모든 국민
`25.4.16.(수) ~ 4.20.(일), 5일간
대전 엑스포시민광장, 엑스포과학공원, 대전컨벤션센터 등 대전 도심 일원(인근기관 연계)
`97년 이후 `25년에 제29회를 맞이하는 행사로,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이해 증진 및 과학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과학문화 행사에 직접 참여하여 생생하게 과학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매해 개최하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문화 축제
관람객 489,507명, 행사 만족도 88.18점 달성
- 총 218개 기관 참여, 425개 프로그램 운영(전체 참가기관 중 민간기업·단체 참여율 약 73.8%)
과학기술계와 일반 시민 간 소통 강화를 통해 과학기술 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및 도시 전역 확산형 축제 구현
- 국내·외 과학기술계 교류 확대 및 도심의 공간, 거리, 지역사회와 예술·문화가 어우러진 ‘도심형’, ‘글로벌 과학문화’ 축제로 기획·운영
주요 과학기술 행사*의 통합 개최로 규모 확대와 시너지 창출 도모,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지속 가능한 운영체계 확립
* 대한민국과학기술대전(한국연구재단/12월),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대전시/10월) 등 통합추진
- 3년간 지역개최에 따른 효과 분석을 통해 과학축제 인지도를 높이고 과학축제 브랜드가치의 지속가능한 제고 방안 도출
※ 개최 시기를 매년 4월 과학의 달로 고정, 지자체 연계 개최를 통해 지역혁신 가치 제고
참여 주체 다변화 및 역량 있는 민간(기업) 참여 독려를 통한 혁신적인 과학기술문화 프로그램 발굴·운영
- 과학축제 특성을 활용한 대표 특화 프로그램* 개발·운영
* 과학축제만의 정체성을 담은 킬러 콘텐츠를 신설하여 대국민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기여
- 실내·외 공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 및 시민 참여 제고를 위한 생활 속 과학기술 체험형 콘텐츠 확대·운영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내 ‘대한민국 과학축제’ 메뉴 통해 개최 결과 확인 가능
청소년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과 흥미 제고를 위한 자기주도적 과학탐구 활동 지원
전국 초·중·고등학생 및 이에 준하는 청소년
청소년 과학탐구반(YSC)(4~10월), 청소년 과학대장정(모집 4월, 행사 7~8월), 청소년 과학탐구대회(10월)
청소년의 과학연구(R&D) 역량 강화를 위한 동아리 단위 탐구활동 지원
과학이 궁금한 중·고등학생 대상 과학 인프라 탐방 기회 제공
과학인재 육성을 위한 전국단위 과학 활동 경진대회 개최 및 시상
- (주요내용) 기초·응용과학 분야 연구동아리 선발 및 연구활동(R&D) 운영지원, 발표대회 개최 및 시상
- (지원방식) 한국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전국 중·고등학교 과학탐구 동아리 참여 안내 예정(3월 공고 예정)
- (선발대상/규모) 200팀 내외 동아리 선정 예정
- (주요내용) 국내외 주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 과학기술 분야별 유관기관 현장탐방 프로그램 운영
- (지원방식) 한국과학창의재단 온라인접수시스템 통해 지원(4월 공고 예정)
- (선발규모) 중학생 100명 내외(국내), 고등학생 20여명 내외(해외)
- (주요내용) 청소년들의 과학 흥미·역량을 확장할 수 있는 경연·토론 등 대회 운영
- (지원방식) 각 학교 통해 참여(3월) * 세부일정 및 참여방법은 학교에 따라 상이
- (시상규모) 100팀 내외 시상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