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대전환에 따른 학생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고 지역·여건에 따른 학생의 디지털 교육격차 완화
전국 초·중·고교 학생 중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학교밖 청소년 포함)
2025.5월(예정) ~ 12월
운영기관 공모 및 선정(3~4월), 디지털새싹 프로그램 운영(5~12월), 성과공유 컨퍼런스(12월)
![]() |
![]() |
디지털새싹 사업 BI | 디지털새싹 캐릭터 '누룽찌' |
전국 단위의 대규모 SW·AI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공공-대학-기업 등 사회적 자원을 총동원한 민·관·학 협력 모델 구축·운영
정규교과와 연계된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핵심역량 중심(디지털 소양, 문제해결, 능동적 협력)으로 공교육 과정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프로젝트 기반 체험형 학습을 활성화하고, 주제 다각화 및 수준별 교육 등 다양한 SW·AI교육 프로그램 운영 추진(약 66.5만명 참여)
강사 연수 및 주체 간 소통·교류 활성화를 통한 사업 운영 주체의 역량향상(Skill-up) 지원, 프로그램 운영 우수사례 발굴‧확산, 사업추진협의체 구축을 통해 사업관리의 투명성과 전문성 확보를 통한 사업 운영 내실화 지원
디지털새싹 사업 참여에 따른 학생들의 교육효과성 및 만족도 분석 실시, 역량 향상 측정도구 개발 등
디지털새싹 인재상 기반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 체계로 정밀한 SW·AI 교육 지원 강화
다양해지고 세분화된 학교현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모듈화 운영으로 학교교육 지원 강화
기본교육 수준의 기본과정과 학생 개인 또는 특정 수요 기반의 진로-성취별 특화과정 제공, 학생들이 경험한 역량을 발현할 수 있는 ‘전국 단위 대회’ 연계 운영
도서벽지, 다문화 및 장애학생, 학교밖청소년을 비롯한 디지털교육 사각지대 학생들을 지속 발굴하여 다양한 교육 기회 제공
현직(예비)교원-전문강사 협업 수업, 교원 교육참관 등 학교 현장 디지털 교육 역량 축적을 위한 지원 다각화
디지털새싹(https://newsac.co.kr/), 디지털새싹 블로그(디지털새싹.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