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개인, 대학, 공공기관, 단체 등 다양한 사회 주체들이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을 발굴‧연계하여 초‧중등 교육활동에 활용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질 제고 및 포용‧나눔의 교육기부 문화 확산
초·중·고 학생, 교사 등
2011년 ~ 계속
- 교육기부 인증제 시행 공고 : 3월
- 교육기부 대상 공고 : 4~5월
- 대학생 교육기부 활동 : 5월~11월
- 늘봄학교·교육기부 박람회 : 11월말~12월초
목표 |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미래 인재 양성 |
---|---|
기본방향 | 기업·공공기관·개인 등 학교 밖의 우수한 자원을 학교와 연계 교육기부를 통해 포용과 나눔의 가치 문화 확산 늘봄학교 지원, 사교육비 경감 등 교육 정책과 연계 강화 |
- 지역 내 교육기부 자원 발굴 및 교육기부 협력체계 구축, 교육기부 모델학교 지원 등 위해 권역별 거점지원 센터 운영
- 수도권(서정대), 강원‧충청권(상지대), 경상권(부경대), 전라‧제주권(전남대) 등 4개 권역별 센터 운영
- 체육‧예술 분야 교육기부 자원 발굴 및 활성화 위해 권역별 거점대학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교육기부 협력망 구축
- 강원‧충청권(서원대), 경상권(경남대), 전라‧제주권(제주대) 등 3개 거점대학 운영
- 교육기부 참여기관 간 추진협의체를 구성‧운영하여 교육기부의 효율적 추진 위한 네트워크 형성, 성과‧정보공유 등 지원
- 교육기부 활동이 우수한 기업, 단체, 대학, 대학생 동아리 등을 심사하여 인증
- 인증제 공고 및 접수(3~4월) → 심사(5∼6월, 서류심사, 종합심사, 필요 시 현장심사‧재심사) → 결과발표(7월) → 인증(7월)
- 교육기부 활성화에 기여한 기관‧개인에 대한 포상‧격려를 통해 교육기부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 및 지속 참여 독려
- 대상 공고 및 접수(5~6월) → 심사(6∼8월, 서류심사, 면접심사, 종합심사) → 결과발표(11월) → 시상식(12월)
- 대학생 동아리가 기획한 프로그램을 심사하여, 교육기부 희망 단체, 학교 등과 매칭
- 1학기 공고 및 접수(4~5월) → 선정 및 운영(5~7월) → 여름방학 공고 및 접수(6~7월) → 선정 및 운영(7~8월) → 2학기 공고 및 접수(7~8월) → 선정 및 운영(9~11월)
- 교육기부 활동에 참여한 기업, 대학, 공공기관, 단체들이 참여하여 일년 동안의 활동 성과를 나누고 국민들에게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도록 각종 프로그램과 교육기부 관련 체험‧전시관을 운영하는 행사(4일간 진행)
- 박람회 참여 기관 모집(4월~6월) → 교육기부 박람회 개최(11월~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