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 스킬, 게임기반학습... 2022년 이끌 교육 트렌드
▶ 최근 교육산업이 온라인 교수학습으로 전환됨에 따라 많은 대학이 학사과정에 온라인 교육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
새로운 교육혁신 등장에 따라 관계자가 알아야 하는 2022년 교육트렌드가 아래와 같이 선정됨
■ 소프트스킬 훈련 중요성 증가
-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인력관리, 창의성이 미래 직업에 필요한 역량으로 떠오르고 있고 이에 따라 학생들의 소프트 스킬* 역량 강화를 위한 최적의 교육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해짐. 이는 학생들의 취업가능성을 높여 각 교육기관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것
* 소프트스킬: 소통, 유연성, 인내심, 정서지능, 동기부여 등 인간관계 및 팀워크 유지에 필요한 능력
■ 게임기반 학습
- 전통 학습 기법에 게임요소를 더해 학생들의 적극적 학습 참여를 유도
- 게임기반학습은 온라인 학습도구를 훨씬 더 강력하게 만듦. 또 학생들이 문제해결 기술을 개발하고, 학습전략을 수립하며, 과제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 AI 주도학습
- AI는 기존의 교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여 학습 및 학생에게 긍정적 영향을 줌
※ AI 보조교사, 자동채점 시스템은 교사와 학생을 더 효과적으로 연결
■ 고품질 온라인 강좌
- 고품질 콘텐츠 제공은 2022년 고등 교육기관이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
- 온라인 교육콘텐츠의 질 향상은 해답이 될 수 있음. 학생 참여도를 높이고,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케 함
■ 평생교육 및 마이크로 디그리 수요 증대
- 전체 일자리 중 절반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그 성격이 바뀔 수 있음. 이에 재교육 및 평생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
- 이런 노동의 변화는 마이크로 디그리*에 대한 시장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2022년이 진행됨에 따라 분명해질 것
* 마이크로 디그리(micro degree): 분야별로 지정된 최소 학점을 단기간에 집중 이수해 취득하는 최소 단위(micro) 학위(degree). ‘학점당 학위제’라고도 불림
■ 교육기술, '혁신'에서 '진화'로
온라인학습은 교육에서 기술의 유용함을 증명했지만, 대면교육은 여전히 많은 관점에서 중요함. 또한 지난 2년은 교육기술에서 약 10년 치의 기술혁신이 이뤄진 시기로 이제 향후 1년간의 교육기술은 ‘혁신’보다 ‘진화’에 더 초점을 둘 것으로 보임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