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지식/홍보
이슈페이퍼/FOCUS
[KOSAC ISSUE PAPER 2025-7]
과학기술 전주기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의 제도 진단 및 대안 탐색
4차 산업혁명과 AI 기술 경쟁이 심화되면서 과학기술은 더 이상 특정 산업군의 성장 동력에 그치지 않고 국가 경쟁력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술 혁신을 선도할 고숙련 과학기술 인재의 확보는 단순한 정책 과제를 넘어 국가 생존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4년간 과학기술 인력 수요는 약 196만 명으로 연평균 5.3% 증가하며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나, 같은 기간 이공계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는 566만 명으로 연평균 3.6% 증가에 그쳐 과학기술 분야 일자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러한 흐름이 단지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진화로만 설명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지금의 변화는 담론 구조의 전환을 넘어, 정보를 생성하고 배열하는 기술 인프라의 재편과 맞물려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심층에는 알고리즘 기반의 플랫폼 구조와 생성형 AI의 부상이 자리 잡고 있다........
관련 이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북과 PDF 파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 김민희 연구원 / 교육학 박사 (한국과학창의재단)
박성균 책임연구원 (한국과학창의재단)
<KOFAC ISSUE PAPER>는 과학기술문화, 과학융합인재, 과학·수학·정보 교육에 관한 주요 현안이슈를 심층 분석하고 정책제언을 함으로써,
미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책 수립 시 활용하고자 발행하고 있습니다.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