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 호
1-1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대한민국과학축제
시작 연도
1997
담당 부서
과학기술소통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20
2021
2022
2023
2024
1,300
1,440
1,440
1,440
1,224
대한민국과학축제 연도별 운영 현황
구분
개최 지역
개최 시기
행사주제
관람객 (천명)
기관 (개)
프로그램 (개)
비고
1회 (1997)
한강 고수부지
4.18-4.27 (7일간)
과학을 느끼자, 미래를 보자
440
-
-
2회 (1998)
올림픽공원
8.14-8.20 (7일간)
과학과 커뮤니케이션
170
-
-
제1회 APEC 과학축전
3회 (1999)
올림픽공원
8.14-8.20 (7일간)
즐거운 과학, 체험의 세계로
140
-
-
4회 (2000)
서울 COEX
8.3-8.7 (5일간)
과학기술과 함께하는 새천년
140
89
111
5회 (2001)
서울 COEX
7.31-8.5 (6일간)
과학기술과 함께하는 밝은 미래
160
-
-
6회 (2002)
포항 종합운동장
8.10-8.15 (6일간)
과학의 힘 미래를 바꾼다
220
107
218
경상북도,
포항시 공동 개최
7회 (2003)
서울 무역전시장
8.13-8.17 (5일간)
밝은 미래를 위한 융합
140
111
215
8회 (2004)
서울 COEX
7.23-7.28 (6일간)
밝은 미래, 사이언스코리아
150
123
258
9회 (2005)
대전 엑스포 과학공원
8.12-8.21 (10일간)
Science 180°
250
150
350
대전광역시 공동 개최
10회 (2006)
일산 KINTEX
8.11-8.15 (5일간)
함께한 10년, 함께할 100년
160
150
500
11회 (2007)
일산 KINTEX
8.10-8.15 (6일간)
대한민국과학기술 14600
190
153
162
12회 (2008)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
8.1-8.6 (6일간)
인재 대국! 과학기술강국 건설!
179
156
166
광주광역시 공동 개최
13회 (2009)
일산 KINTEX
8.4-8.9 (6일간)
과학과 창의가 만드는 녹색 미래
206
204
192
14회 (2010)
일산 KINTEX
8.3-8.8 (6일간)
꿈을 실현하는 과학
212
212
244
15회 (2011)
대구 EXCO
8.10-8.15 (6일간)
미래로 떠나는 신나는 과학창의여행
228
277
365
대구광역시 공동 개최
16회 (2012)
일산 KINTEX
8.14-8.19 (6일간)
창의세상, 과학에게 길을 묻다
247
350
410
17회 (2013)
일산 KINTEX
7.30-8.4 (6일간)
과학, 상상의 날개를 달다.
318
300
400
18회 (2014)
부산 BEXCO
11.3-11.8 (6일간)
국제행사 ITU 전권회의 연계, 창의의 바람, 과학의 미래를 품다
156
300
400
부산광역시 공동 개최
19회 (2015)
일산 KINTEX
7.28-8.2 (6일간)
광복 70년, 과학기술이 이끄는 새로운 도약
340
300
400
20회 (2016)
서울 코엑스
8.4-8.7 (4일간)
과학기술이 펼치는 미래희망 100년
240
132
314
21회 (2017)
일산 KINTEX
8.10-8.15 (6일간)
꿈을 만나다, 함께 그리다, 새로운 미래를 열다.
275
304
376
22회 (2018)
일산 KINTEX
8.9-8.12 (4일간)
일상 속에서 과학을 플레이하다 Science on, Playcation
214
133
232
23회 (2019)
서울 도심 일대
4.19-4.23 (5일간)
과학의 봄, 도심을 꽃 피우다 Blossom the City, with Science
323
65
155
24회 (2020)
온라인
12.21-12.27 (7일간)
“과학기술로(路), 미래의 희망을 현실로 그리다”
883
89
235
연구재단 공동 개최
25회 (2021)
일산 KINTEX
12.22-12.24 (3일간)
“미래를 여는 창, 과학기술로의 여행”
139
185
231
연구재단 공동 개최
26회 (2022)
성수동 에스팩토리
8.18-8.21 (4일간)
페스티벌 어스(Festival Earth)
206
95
152
27회 (2023)
대전 도심 일대
4.27-4.30 (4일간)
Science is ∞
401
176
353
대전광역시 공동 개최
28회 (2024)
대전 도심 일대
4.25-4.28 (4일간)
세상에서 가장 큰 연구실 We are all Scientists!
489
218
425
대전광역시-
연구재단 공동 개최
계
7,216
4,379
6,864
자료출처
- 2023 대한민국 과학축제 백서(2023.9월, 한국과학창의재단) -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 개최 결과
확보방법
- 고객 설문 및 직접 조사 - 기관, 프로그램 : 행사 참가 기관 및 프로그램 수 합산
주석
-
해설
-
번 호
1-2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청소년과학활동지원
시작 연도
청소년과학페어(1983~), 청소년과학탐구반(2001~) 청소년과학대장정(2022~)
담당 부서
과학기술소통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원)
2020
2021
2022
2023
2024
900
700
650
650
650
청소년과학페어 종목 운영 수
(단위: 개)
종목
2020
2021
2022
2023
2024
종목 수
2
3
2
3
3
참가부문 수
6
9
6
8
9
청소년과학페어 종목별 참가 학생 수
(단위: 명)
종목
2020
2021
2022
2023
2024
융합과학
360
23,299
19,734
20,336
36,657
과학토론
550
12,742
21,217
22,712
47,443
계
910
36,041
40,951
43,048
84,100
청소년과학페어 학교급별 참가 학생 수
(단위: 명)
학교급
2020
2021
2022
2023
2024
초등
337
15,290
16,987
14,982
30,152
중등
447
17,542
22,521
24,589
48,150
고교
126
3,209
1,443
3,477
5,798
계
910
36,041
40,951
43,048
84,100
청소년과학페어 지역별 참가 학생 수
(단위: 명)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서울
19
880
719
956
918
부산
6
166
161
378
2,186
대구
71
468
596
804
778
인천
101
4,542
3,619
6,054
6,017
광주
17
153
3073
3,759
1,422
대전
62
6,798
421
758
1,956
울산
10
315
274
598
524
세종
4
37
40
84
448
경기
169
-
-
-
-
강원
19
365
1,053
4,138
4,144
충북
62
701
1,788
1,788
2,050
충남
38
15,192
9,487
102
3,182
전북
25
4,475
4,404
3,485
5,086
전남
44
150
130
107
7,180
경북
123
1,138
14,623
19,001
16,983
경남
139
566
545
834
30,850
제주
1
95
1,550
202
376
계
910
36,041
42,483
43,048
84,100
자료출처
- 사업 결과보고서
확보방법
- 각 시・도 예선・본선 결과 보고
주석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시도대회 전면 취소로 인하여 전국대회만 개최 운영(팀→개인단위, 온라인)
- 2021년은 지역대회 개최(경기지역 미참여, 개인단위, 온라인)
- 2023년은 지역대회 개최(경기지역 미참여, 개인단위), 융합과학 종목은 1, 2를 통합
- 2024년 개인단위에서 팀단위로 변경 개최 서울, 울산, 세종, 충남, 전남, 제주지역은 교육청대회 참가자 수(학교대회 참가자 통계 미조사)
해설
- 청소년과학페어는 청소년과학경진대회(1983년) → 청소년과학탐구대회(2004년)를 거쳐 2022년에 변경되었음
청소년과학탐구반 참여 과학반 수
(단위: 개)
2001~2020
2021
2022
2023
2024
8,367
312
155
225
249
청소년과학탐구반 지역별 선정과제 수
(단위: 개)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서울
26
11
2
6
9
부산
7
2
11
3
11
대구
7
5
6
8
2
인천
33
29
32
36
46
광주
14
9
3
5
5
대전
25
42
40
55
45
울산
14
11
-
1
3
세종
9
3
-
2
2
경기
40
54
28
56
68
강원
12
26
4
7
8
충북
13
14
7
9
6
충남
15
11
2
10
10
전북
23
20
5
9
7
전남
8
12
1
3
7
경북
26
22
6
6
9
경남
33
37
8
7
9
제주
14
4
-
2
2
계
319
312
155
225
249
청소년과학탐구반 학교급별 선정과제 수
(단위: 개)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초등학교
36
39
13
24
18
중학교
52
66
39
63
64
고등학교
231
207
103
138
167
합계
319
312
155
225
249
청소년과학탐구반 분야별 선정과제 수
(단위: 개)
구분
분야
2020
2021
구분
분야
2022
구분
분야
2023
분야
2024
자율탐구과제(~19)
조사/관찰/실험
-
-
일반탐구과제 (22)
물리학
25
통합과제(23)
물리
34
물리
41
탐사/탐방
-
-
화학
35
화학
33
화학
40
기르기/만들기
-
-
생명과학
38
생명과학
46
생명생물
56
과학소통
-
-
지구과학
19
지구과학·환경과학
56
지구우주
11
심화탐구과제(~21)
물리학
40
44
수리과학
23
우주
3
환경
40
화학
43
58
융합탐구과제(22)
물리
1
공학
18
공학・발명
36
생명과학
75
87
생명과학
1
수리과학
13
수학
7
지구과학
40
29
융합과학
10
SW·AI
22
SW·AI
14
환경과학(GLOBE)
15
공학
1
융합과학
69
10
수리과학
2
공학
24
29
수리과학
28
11
정보과학
29
사회과학
-
-
계
319
312
-
-
155
-
-
225
249
자료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 자료
확보방법
- 해당 사항 없음
주석
- 2022년부터 심화탐구과제는 융합탐구과제, 자율탐구과제는 일반탐구과제로 명을 변경해 진행함 - 2023년 융합·자율탐구과제를 통합하여 총 8개 분야 동아리를 모집 및 지원함
해설
- 해당 사항 없음
청소년과학대장정 참가 학생 수
(단위: 명)
구분
2022
2023
2024
중학
95
105
102
고등학교
-
15
19
합계
95
120
121
청소년과학대장정 협력 기관/기업 수(국내, 중복)
(단위: 개)
구분
출연연
기업
과학관・박물관
대학
기타
협력주체 수
14
18
11
10
8
청소년과학대장정 참가자 만족도 점수
(단위: 점)
구분
2022
2023
2024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학생
학부모
중학
93.0
98.2
93.69
96.58
94.95
89.67
고교
-
-
98.19
97.05
98.85
98.16
자료출처
- 각 연도 청소년과학대장정 운영 결과보고
확보방법
- 참가자 만족도 점수 : 행사 종료 직후 만족도 조사 실시・수집
주석
- 2022년 청소년 과학대장정 신규운영 - 행사명은 중학생 대상 「청소년과학대장정」, 고등학생 대상 「청소년 글로벌 과학대장정」
해설
- 해당 사항 없음
번 호
1-3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지역과학문화역량강화
시작 연도
2020
담당 부서
지역과학문화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20
2021
2022
2023
2024
2,650
2,650
2,650
2,500
2,832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수
(단위: 백만 원)
2020
2021
2022
2023
2024
4
10
10
10
12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운영기관 및 예산 현황
(단위: 백만 원)
지역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부산
운영기관
부산과학기술협의회
부산과학기술협의회
부산과학기술협의회
부산과학기술협의회
부산과학기술협의회
투입 예산
국비
180
225
225
225
225
지방비
195
225
225
225
225
인천
운영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투입 예산
국비
-
225
225
225
225
지방비
-
225
225
225
225
대전
운영기관
대전마케팅공사
대전마케팅공사
대전관광공사
대전관광공사
대전관광공사
투입 예산
국비
180
225
245
225
225
지방비
180
323
320
355
365
세종
운영기관
-
세종테크노파크
세종테크노파크
세종테크노파크
세종테크노파크
투입 예산
국비
-
225
225
225
225
지방비
-
225
225
325
225
경기
운영기관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투입 예산
국비
-
225
225
225
203
지방비
-
225
225
225
260
강원
운영기관
-
강원연구원
강원연구원
강원연구원
강원연구원
투입 예산
국비
-
225
225
225
245
지방비
-
225
225
225
225
충북
운영기관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투입 예산
국비
180
225
225
245
225
지방비
210
255
255
255
245
전북
운영기관
-
-
-
-
군산대학교
투입 예산
국비
-
-
-
-
150
지방비
-
-
-
-
150
전남
운영기관
-
전남테크노파크
전남테크노파크
전남테크노파크
전남테크노파크
투입 예산
국비
-
225
225
225
225
지방비
-
225
225
225
225
경북
운영기관
경북테크노파크
경북테크노파크
경북테크노파크
경북테크노파크
경북테크노파크
투입 예산
국비
180
225
225
225
225
지방비
180
225
225
225
225
경남
운영기관
경남테크노파크
경남테크노파크
경남테크노파크
경남테크노파크
경남테크노파크
투입 예산
국비
180
225
225
225
225
지방비
180
225
225
225
225
제주
운영기관
-
-
-
-
제주과학문화협회
투입 예산
국비
-
-
-
-
150
지방비
-
-
-
-
150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주체 발굴・지원 수
(단위: 백만 원)
지역
2020
2021
2022
2023
2024
부산
14
16
18
242
116
인천
-
12
14
96
140
대전
7
8
10
53
66
세종
-
5
7
149
160
경기
-
11
9
17
58
강원
-
9
5
19
29
충북
12
15
17
34
45
전북
-
-
-
-
90
전남
-
12
10
51
86
경북
-
8
9
80
43
경남
11
10
13
37
169
제주
-
-
-
-
116
합계
44
106
112
778
1,118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협력 기관 수
(단위: 백만 원)
지역
2020
2021
2022
2023
2024
부산
65
128
177
142
340
인천
-
78
72
102
340
대전
79
96
109
108
172
세종
-
18
29
13
42
경기
-
53
108
13
16
강원
-
60
94
110
114
충북
46
115
142
239
424
전북
-
-
-
-
84
전남
-
50
36
270
321
경북
-
53
113
150
179
경남
203
52
113
150
179
제주
-
-
-
-
62
합계
393
703
960
1,211
2,291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수혜자 수
(단위: 백만 원)
지역
2020
2021
2022
2023
2024
부산
320,594
496,561
504,651
205,831
761,380
인천
-
206,924
27,223
92,035
130,485
대전
165,980
113,213
322,896
1,468,047
286,570
세종
-
26,000
18,000
92,780
19,673
경기
-
149,663
98,771
27,716
58,427
강원
-
122,993
151,466
14,489
6,825
충북
16,837
118,003
131,477
123,415
55,851
전북
-
-
-
-
8,765
전남
-
40,600
45,085
109,480
67,486
경북
-
12,098
43,687
42,320
52,965
경남
2,363
435,926
28,264
93,112
17,890
제주
-
-
-
-
3,564
합계
505,774
1,721,981
1,371,520
2,269,225
1,469,881
자료출처
- 연도별 지역과학문화역량강화 사업 결과보고서
확보방법
- 지역별 과학문화거점센터 결과보고 공문 등
주석
- 주체 발굴 수 : 각 지역에서 발굴한 공공・민간 기관・기업・단체 및 전문인력 발굴・양성 수
※ (’20∼’22) 공공・민간단체 지원과제 수 + 과학클럽 지원과제 수,
(’23~’24) 공공・민간단체 지원과제 수 + 과학클럽 지원과제 수 + 전문인력 양성 수 - 협력 기관 수 : 필수 및 자율과제 참여 기관 수(’24)
해설
- 해당 사항 없음
과학문화도시 지정 및 운영 현황
(단위: 백만 원, 개, 명)
연도
지역
운영기관
투입 예산
협력기관수(개)
수혜자수(명)
국비
지방비
2020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구청
130
130
17
82,108
2021
강원도 강릉시
강릉과학산업진흥원
150
250
26
42,824
2022
충청북도 충주시
한국교통대학교
150
220
37
31,707+
자료출처
- 연도별 과학문화도시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확보방법
- 지정된 과학문화도시 운영 결과보고서
주석
-
해설
-
번 호
1-4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민간과학문화활동지원
시작 연도
2001
담당 부서
지역과학문화팀
사업 예산
(단위: 명, 백만 원, %)
2020
2021
2022
2023
2024
1,412
1,350
1,400
1,300
1,105
지원 주체 유형
(단위: 개)
연도
NGO/협동조합
학교법인
과학관 등
기업
교육청
출연기관등
재단/사단법인
지자체
학회/ 협회
2012
-
28
-
11
-
13
17
6
11
2013
-
25
6
5
-
7
23
6
7
2014
-
20
3
5
-
5
20
3
8
2015
1
26
1
6
-
2
24
-
9
2016
1
14
1
4
-
-
11
-
6
2017
1
25
1
2
1
2
19
6
9
2018
-
14
4
3
1
3
10
8
7
2019
1
19
11
3
-
2
15
1
3
2020
3
3
1
21
-
-
11
1
3
2021
2
3
4
11
-
2
5
-
3
2022
4
1
1
2
-
-
2
-
-
2023
2
1
-
2
-
-
6
-
3
2024
1
-
-
4
-
-
8
-
1
합계
16
179
33
79
2
36
171
31
70
지역별 지원 현황
(단위: 백만 원, 개, %)
연도
예산
지원과제
지원금
수도권 지원금
비수도권 지원금
지역 안배율
과제 수
기관 수 (수도권 소재)
기관 수 (비수도권 소재)
지역 안배율
2008
1,295
-
-
-
75
43
32
42.7
2009
1,170
-
-
-
61
34
27
44.3
2010
1,224
-
-
-
63
28
35
55.6
2011
2,115
-
-
-
91
50
41
45.1
2012
3,482
1,267
2,215
63.6
90
53
37
41.1
2013
1,759
886
873
49.6
79
41
38
48.1
2014
2,290
1,106
1,184
51.7
64
30
34
53.1
2015
2,045
1,420
625
30.6
69
37
32
46.4
2016
1,450
1215
235
16.2
38
21
17
44.7
2017
2,188
1,590
598
27.3
66
34
32
48.5
2018
2,010
1,085
925
46.0
49
27
22
44.9
2019
1,667
994
676
40.6
55
26
29
52.7
2020
1,276
710
566
44.4
43
23
20
46.5
2021
1,024
605
419
40.9
30
17
13
43.3
2022
1,120
900
220
24.4
10
7
3
42.9
2023
1,090
912
178
19.5
12
2
14
16.7
2024
925
770
155
16.8
14
13
1
7.1
자료출처
- 연도별 민간과학문화활동지원사업 결과보고서
확보방법
- 연도별 지원과제 협약 시 사업계획서 등을 참고하여 분류
주석
해설
- 2023, 2024년의 경우, 지원기준을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미설치 지역을 대상으로 제한하여
지역안배율이 예년 평균치와 상이(각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에서 자체적으로 민간과학문화활동지원사업(지역의 과학문화 주체 발굴 육성)을 운영함)
번 호
1-5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생활과학교실
시작 연도
2004
담당 부서
지역과학문화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20
2021
2022
2023
2024
3,710
4,077
6,389
5,280
3,796
운영 지역 및 센터 수
(단위: 개, 명)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운영시군구 수
169
168
174
175
160
운영읍면동 수
1,096
1,032
1,133
1,173
1,038
운영센터 수
33
34
33
32
30
강사 수
931
945
814
847
913
주요 운영 실적(교육장 수, 운영횟수, 수혜자 수)
(단위: 개, 회, 명)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총 교육장 수
2,330
2,414
3,200
2,994
2,599
총 운영횟수
43,539
50,034
50,728
54,756
46,460
총 수혜자 수
121,551
127,751
153,666
163,351
192,205
세부 운영 실적(창의과학교실, 나눔과학교실)
(단위: 개, 회, 명)
구분
창의과학교실
나눔과학교실
교육장 수
운영 횟수
수혜자 수
교육장 수
운영 횟수
수혜자 수
2020
465
9,437
26,988
1,884
34,102
94,563
2021
481
10,760
21,066
1,950
39,274
106,685
2022
379
9,003
19,146
2,686
41,725
134,520
2023
448
8,571
19,374
2,560
46,185
143,977
2024
390
7,985
18,748
2,209
38,475
173,457
자료출처
- 연도별 생활과학교실 사업 운영 결과보고서
확보방법
- 각 지역운영센터에서 제출한 사업 운영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
주석
- 나눔 과학교실: 지역아동센터, 도서벽지학교 등에서 사회적 소외계층 대상 무상으로 과학교실 운영
- 창의 과학교실: 주민센터, 도서관 등 일반 대상으로 재료비를 유상으로 과학교실 운영
- 교육장/횟수: 창의/나눔 과학교실이 운영된 교육 장소, 횟수
- 수혜자 수: 창의/나눔 과학교실의 수업에 참석한 순인원 - 강사 수: 주강사와 보조강사를 합산한 수치
해설
-
번호
1-6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과학문화바우처
시작 연도
2019
담당 부서
지역과학문화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20
2021
2022
2023
2024
920
1,800
1,800
1,800
3,000
과학문화바우처 일반 현황
(단위: 명, 백만 원, %)
분야
2020
2021
2022
2023
2024
발행인원(명)
46,121
53,463
56,855
32,843
49,996
사용인원(명)
42,470
45,677
51,097
30,744
47,384
발행액(백만원)
690
1,500
1,500
1,500
2,300
사용액
641
1,500
1,391
1,500
2,300
사용률
92.0
92.73
100.0
100.0
100.0
과학문화바우처 상품 제공 세부 현황
(단위: 개)
분야
2020
2021
2022
2023
2024
공연
7
9
8
10
29
전시체험
26
28
43
47
도서
119
216
164
156
239
(교구)키트
45
71
269
487
280
교육・강연
-
-
44
41
57
기타
-
-
-
6
-
합계
197
324
528
747
605
자료출처
- 과학문화바우처 홈페이지 및 내부 문서
확보방법
- 과학문화바우처 홈페이지 내 데이터 추출
주석
- 해당 사항 없음
해설
- 해당 사항 없음
번 호
1-7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사이언스올운영(플랫폼)
시작 연도
사이언스올(1999~), 사이언스타임즈(2003~), 사이언스프렌즈(2020~)
담당 부서
과학문화콘텐츠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사이언스올
700
700
700
700
700
사이언스타임즈
300
200
-
-
-
사이언스올 페이지뷰 수
(단위: 회)
2020
2021
2022
2023
2024
15,232,791
10,631,569
10,435,793
5,702,661
3,417,512
사이언스타임즈 페이지뷰 수
(단위: 회)
2020
2021
2022
2023
2024
12,679,777
17,199,918
12,476,014
10,083,774
3,637,133
사이언스타임즈 기자・필진 수
(단위: 명)
2020
2021
2022
2023
2024
49
49
4
3
3
사이언스타임즈 기사 발행 수
(단위: 개)
2020
2021
2022
2023
2024
3,589
3,293
1,452
1,504
1,419
사이언스타임즈 독자 수
(단위: 명)
2020
2021
2022
2023
2024
86,604
97,426
116,708
118,176
120,326
사이언스프렌즈 유튜브 연령별 시청 현황
(단위: %)
연도
만13~17세
만18~24세
만25~34세
만35~44세
만45~54세
만55~64세
만65세 이상
2020
5.9
15.2
17.7
31.3
15.9
8.6
5.4
2021
4.8
16.3
17.8
22.0
23.4
10.6
5.2
2022
2.8
11.4
18.4
27.6
24.8
10.5
4.5
2023
2.6
16.5
20.8
22.3
20.8
11.3
5.7
2024
2.2
12.3
17.2
24.6
9.6
16.3
17.8
사이언스프렌즈 유튜브 성별 시청 현황
(단위: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남성
53.4
69.9
76.6
71.9
62.1
여성
46.6
30.1
23.4
28.1
37.8
사이언스프렌즈 유튜브 평균 시청시간, 평균 조회율(구독/미구독)
(단위: 분/초, %)
연도
구독 중
구독안함
평균 시청시간
평균 조회율
평균 시청시간
평균 조회율
2020
3:04
8.7
2:55
28.8
자료출처
- 사이언스올 운영 결과보고서
- 사이언스타임즈 운영 결과보고서
- 사이언스프렌즈 유튜브 채널 내 데이터 통계
확보방법
- 사이언스올, 사이언스타임즈 : 관리자 시스템, 구글 애널리틱스 - 사이언스프렌즈 : 유튜브 채널 내 자동으로 수집되는 통계
주석
- 사이언스타임즈 : 구글애널리틱스 데이터 집계 방식 변경(UA→GA4) 및 사이트 개편으로 인한 `22~`24년 데이터 차이 발생
- 사이언스프렌즈 : 전체 통계는 조회수를 기준으로 함 - 사이언스프렌즈 : 2024년 조회수 성별 비율에서 남성・여성 외 ‘사용자가 지정’(0.04%)은 포함하지 않음
해설
- 평균 조회율 : 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에서 평균적으로 시청자들이 얼마나 오래 영상을 시청했는지를 백분율로 표현한 것
번 호
1-8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과학문화조사연구및협력
시작 연도
2000
담당 부서
과학문화협력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20
2021
2022
2023
2024
300
300
300
300
300
과학기술 국민인식도 조사 결과 – 과학에 대한 관심도
(단위: 점)
구분
2000
2002
2004
2005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성인
36.8
42.6
49.5
45.3
48.8
49.3
49.9
49.0
46.3
37.6
39.2
46.9
47.5
59.1
청소년
-
-
-
46.2
48.3
48.4
53.0
49.3
47.5
45.6
47.2
57.1
68.9
60.7
미국
62.2
65.0
63.8
64.8
63.7
63.3
과학기술 국민인식도 조사 결과 – 과학에 대한 이해도
(단위: 점)
구분
2000
2002
2004
2005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2022
2024
성인
24.4
23.5
23.5
26.0
23.6
26.3
27.9
27.3
29.2
27.3
34.4
36.5
37.6
41.2
청소년
-
-
-
23.0
25.8
28.0
32.5
28.6
30.0
33.6
41.3
44.6
52.4
51.8
자료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4 과학기술문화 사회조사연구 보고서」
확보방법
- 조사대상 : 전국 14~69세 남・여
- 조사방법 : 온라인 조사
- 표본 수 : 총 10,000명
- 표본 추출방법 : 성/연령/지역 고려 인구비례 할당, 틸리언 패널 활용
- 조사기간 : 2024.10.4.~10.28 - 조사기관 : ㈜서베이피플
주석
-
해설
- 해당 사항 없음
과학문화 혁신포럼 개최 현황
(단위: %)
구분
주제
개최일자
제1회
문화 다양성 시대에서 과학기술문화 콘텐츠가 나아갈 방향은 어디일까?
2020.11.26.
제2회
과학과 SF의 융합이 만드는 과학기술문화의 미래는 어떤 형태일까?
2021.01.26.
제3회
과학기술 대중화를 위한 민간의 새로운 역할은 무엇일까?
2021.02.24.
제4회
과학기술문화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활용할 방법은?
2021.03.23.
제5회
지역 과학기술문화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은 어디일까?
2021.04.28.
제6회
과학기술 시대의 윤리와 과학비평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2021.06.28.
제7회
메타버스는 과학기술문화의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까?
2021.07.29.
제8회
과학기술인의 과학기술문화 활동 참여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2021.09.30.
제9회
과학기술 기반 기업 CSR 활동의 지속가능한 방향과 전망은 무엇일까?
2021.10.25.
제10회
과학기술문화 공간 및 플랫폼 현황과 개선방안 발굴
2022.03.30.
제11회
민간 주도 행사를 통한 과학문화 생태계 구축
2022.06.27.
제12회
증거 기반 과학 소통
2022.10.12.
제13회
ChatGPT가 가져올 과학 소통의 미래
2023.04.28.
제14회
지역과학문화 역량강화 사업 활성화 및 발전방향
2023.08.22.
제15회
지속가능한 중앙-지역-민간 협업 체계 기반의 대한민국 과학축제 활성화 방안 모색
2023.11.09.
제16회
Pax Technica 시대, 과학문화를 새롭게 조명하다
2024.06.20.
과학기술계 학회 연계 과학문화 세션 개최 현황
(단위: %)
연변
주제
개최일자
연계학회
1
한국우주과학회 춘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1.04.28.~04.30.
한국우주과학회
2
한국생물공학회 추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1.10.06.~10.09.
한국생물공학회
3
한국생물공학회 추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1.10.27.~10.29.
한국우주과학회
4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2.04.27.~04.29.
한국우주과학회
5
한국생물과학협회 하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2.8.10.~8.12.
한국생물과학협회
6
한국지구과학연합회 하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2.8.17.~8.19.
한국지구과학연합회
7
한국생물공학회 추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2.9.28.~9.30.
한국생물공학회
8
한국환경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2.10.19.~10.21.
한국환경생물학회
9
한국우주과학회 추계학술대회 과학기술문화 세션
2022.10.26.~10.28.
한국우주과학회
10
과학기술과 대중을 연결하는 과학소통의 필요성
2023.08.28.~08.29.
한국지구과학연합회
11
과학이 대중에 가 닿기까지, 연구자의 역할 고찰
2023.10.25.~10.27.
한국지구과학연합회
12
기후위기, 국민들은 얼마나 체감하고 있나?
2024.10.16.~10.18.
한국환경생물학회
13
우주탐사의 시작, 우리는 왜 대중소통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2024.10.28.~10.30.
한국우주과학회
과학기술문화 조사・연구 수행 현황
(단위: %)
연변
조사・연구명
수행연도
분류
1
전국 과학문화 실태 조사연구
2014
총괄(과학기술문화)
2
과학방송채널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조사연구
2014
소통(온라인 플랫폼)
3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연수 커리큘럼 개발 연구
2014
인력(민간,개인)
4
과학문화사업 효과성분석 및 개선방안 조사
2014
총괄(과학기술문화)
5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 종합발전방안 연구
2016
소통(오프라인)
6
과학문화사업 발전방안 및 신규 사업 기획 연구
2016
총괄(과학기술문화)
7
고경력 활용 과학기술문화 확산방안 연구
2017
인력(민간,개인)
8
2018 기업의 과학문화 사회공헌 활동 컨설팅 연구 용역
2018
인력(민간,개인)
9
과학문화활동비 활용실태 및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2018
총괄(과학기술문화)
10
2018 과학기술 국민 인식 조사
2018
총괄(과학기술문화)
11
시민 참여형 과학기술문화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2018
소통(오프라인)
12
과학커뮤니케이터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연구
2018
인력(민간,개인)
13
과학문화산업 실태조사 및 활성화 전략 마련 연구
2018
콘텐츠
14
과학문화 기본 법안 마련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2018
총괄(과학기술문화)
15
과학문화콘텐츠산업 활성화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현장 수요조사 연구 용역
2018
콘텐츠
16
중소기업의 과학기술문화 사회공헌 활성화 방안 연구
2019
인력(민간,개인)
17
과학문화바우처 활성화 방안 연구
2019
지역(격차해소)
18
2019 과학기술 국민인식도 및 과학문화 정책만족도 조사
2019
총괄(과학기술문화)
19
과학기술문화 진흥 및 산업육성에 관한 법률제정 연구
2019
총괄(과학기술문화)
20
과학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2019
콘텐츠
21
우리동네과학클럽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2019
지역(격차해소)
22
과학기술전문방송 콘텐츠 수급방안 연구
2019
소통(온라인 플랫폼)
23
2019 과학문화 전문 인력 양성 총괄 연구조사 용역
2019
인력(민간,개인)
24
2019 기업의 과학기술문화 CSR CSV 지원체계 구축 연구 및 생태계 활성화 연구
2019
인력(민간,개인)
25
과학기술전문방송 수용자품질평가 지표개발 및 조사분석
2019
소통(온라인 플랫폼)
26
2020 과학문화 정책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용역
2020
총괄(과학기술문화)
27
2020 과학기술 국민 인식도 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용역
2020
총괄(과학기술문화)
28
지역과학문화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2020
지역(격차해소)
29
청소년 과학문화 활용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용역
2020
소통(오프라인)
30
과학기술전문방송 발전방안 정책연구
2020
소통(온라인 플랫폼)
31
기업 과학기술 CSR활동 연계 프로젝트 연구 용역
2020
인력(민간,개인)
32
2020년 무한상상실 이용자 만족도 조사 용역
2020
지역(격차해소)
33
2021 과학문화 정책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용역
2021
총괄(과학기술문화)
34
과학기술인 과학소통 현황진단 및 참여 확대 방안 연구 용역
2021
인력(민간,개인)
35
과학문화도시 개념 정립 및 사업 재설계를 통한 과학문화도시 육성 방안 마련
2021
지역(격차해소)
36
2021년 과학문화바우처 고객만족도 조사 용역
2021
지역(격차해소)
37
2021년 무한상상실 이용자 만족도 조사 용역
2021
지역(격차해소)
38
2022 과학기술 국민인식도 및 과학문화 정책만족도 조사 연구
2022
총괄(과학기술문화)
39
2022 전국 과학기술문화 활동 실태조사
2022
총괄(과학기술문화)
40
과학기술문화 혁신 생태계 강화 방안 기획 연구(과학기술문화 중장기 발전 방안)
2022
총괄(과학기술문화)
41
과학소양콘텐츠 성과 분석 및 개선을 위한 조사 분석 용역
2022
소통(온라인 플랫폼)
42
2022년 사회적 배려계층 대상 과학문화 사업 효과성 조사 분석 연구 용역
2022
지역(격차해소)
43
2022년 과학문화바우처 고객만족도 조사 용역
2022
지역(격차해소)
44
과학문화서비스 이용자 현황 및 잠재수요 분석 연구용역
2023
콘텐츠
45
2023 과학문화정책 만족도 조사
2023
총괄(과학기술문화)
46
과학소양 영상 콘텐츠 효과성 및 만족도 조사분석
2023
소통(온라인 플랫폼)
47
사이언스미디어센터 기획 정책연구
2023
소통(온라인 플랫폼)
48
과학기술인의 과학소통 현황 조사
2023
인력(민간,개인)
49
과학문화산업 펀드 조성방안 정책연구 용역
2023
콘텐츠
50
2023 사회적배려계층 대상 과학문화사업 효과성 조사 분석 연구 용역
2023
지역(격차해소)
51
지역과학문화역량강화 사업 개선방안 연구 용역
2023
지역(격차해소)
52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 종합 로드맵 개발 연구 용역
2023
인력(민간,개인)
53
과학전문방송 수용자품질평가 조사분석 연구용역
2023
소통(온라인 플랫폼)
54
2023년 과학문화바우처 고객 만족도 조사 용역
2023
지역(격차해소)
55
2023년 과학문화 전문인력 활동 실태조사 용역
2023
인력(민간,개인)
56
전국 과학기술문화 활동 실태조사 민간 확대 방안 연구 용역
2023
총괄(과학기술문화)
57
2024 과학기술문화 사회조사연구
2024
총괄(과학기술문화)
58
과학기술인의 사회소통 활성화 방안 연구
2024
총괄(과학기술문화)
번 호
1-9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 사업
두드림 프로젝트
시작 연도
2015
담당 부서
지역과학문화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20
2021
2022
2023
2024
875
810
753
733
600
두드림 프로젝트 운영 현황
(단위: 회, 일, 명,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찾아가는 과학관 (과학교실)
개최 횟수
75
5
20
10
10
운영일수
-
30
120
94
94
관람・체험객 수
2,036
2,076 (1,059)
11,386
9,932
9,703
체험 만족도
89.6
93.4
91.6
92.7
93.1
찾아오는 과학관
운영 횟수
-
-
-
-
-
수혜자 수
-
-
-
-
-
수혜자 만족도
-
-
-
-
-
찾아가는 과학행사
운영 횟수
-
5
-
-
-
수혜자 수
-
202
-
-
-
수혜자 만족도
-
92.0
-
-
-
과학캠프
운영 횟수
-
-
-
-
-
운영 일수
-
-
-
-
-
참가자 수
-
-
-
-
-
참가자 만족도
-
-
-
-
-
자료출처
- 연도별 두드림 프로젝트 사업 결과보고서(재단 및 과학관협회)
확보방법
- 두드림 프로젝트 운영 시 수집한 데이터 기반
주석
- 찾아가는 과학관 관람・체험객 인원은 찾아가는 과학교실 인원을 포함함
- 2020년 찾아가는 과학관은 코로나19로 인해 과학교실(방문교육・화상교육)로 대체 운영 - 2021년 찾아가는 과학관은 관람 인원 제한 및 사전 예약제 운영(방역지침 준용)
해설
- (찾아가는 과학관) 이동형 과학전시・체험 콘텐츠를 활용한 도서벽지 순회 개최(과학교실 병행 운용)
- (찾아오는 과학관) 사회 배려계층 대상 초청 과학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 (찾아가는 과학행사) 과학문화시설 취약지역(학교)・계층 대상 과학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 (과학캠프) 사회 배려계층 학생 초청 과학체험 캠프 운영(2박 3일)
번 호
1-10
정책사업
뉴미디어 활용 과학문화 디지털 콘텐츠 제작・확산
세부 사업
뉴미디어 활용 과학문화 디지털 콘텐츠 제작・확산
시작 연도
2024
담당 부서
과학문화콘텐츠팀
사업 예산
(단위: 백만 원)
2024
1,500
콘텐츠 제작 수 / 조회 수 / 만족도
(단위: 개, 회, 점)
연도
제작 수
조회 수
만족도
2024
50
16,037,069
89.3
콘텐츠 평균 시청시간 / 조회율
(단위: 분/초, %)
연도
구독 중
구독안함
평균 시청시간
평균 조회율
평균 시청시간
평균 조회율
2024
1:10
13.2%
4:19
37.4%
콘텐츠 연령별 시청 비율
(단위: %)
연도
만13~17세
만18~24세
만25~34세
만35~44세
만45~54세
만55~64세
만65세이상
2024
0.3
12.4
21.0
26.0
8.2
15.8
16.3
콘텐츠 성별 시청 비율
(단위: %)
연도
남성
여성
2024
67.8
32.2
자료출처
- 유튜브 채널 ‘사이언스 프렌즈’ 데이터 통계
확보방법
- 유튜브 채널 내 자동으로 수집되는 통계
주석
- 콘텐츠 제작수 및 조회수 : 사이언스프렌즈 업로드 콘텐츠 「과몰입잡담」 시리즈 및 파워크리에이터 활용 과학융합콘텐츠를 포함
- 평균시청시간, 평균조회율, 연령/성비율. 유입경로 : 「과몰입잡담」 시리즈만 해당되며, 사이언스프렌즈 유튜브 채널 분석 데이터・통계 기반 - 총 제작편수는 50편이나, 과몰입잡담 13~15화는 ’25년 1~2월에 탑재로 조회 수 미반영
해설
- 평균 조회율 : 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에서 평균적으로 시청자들이 얼마나 오래 영상을 시청했는지를 백분율로 표현한 것
종료사업
[정책사업] 과학문화확산 [세부사업] 과학소통활성화
사업 기간
2014~2021
과학커뮤니케이터 발굴・양성 현황
(단위: 명)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계
참여자 수
454
43
59
14
21
591
선발인원
62
10
10
8
11
101
과학퍼포머 발굴・양성 현황
(단위: 명)
구분
2018
2019
2020
2021
계
참여자 수
53
42
35
35
165
선발인원
10
10
12
10
42
자료출처
- 과학커뮤니케이터 : 각 연도 페임랩 코리아 운영 결과 - 과학퍼포머 : 각 연도 과학퍼포머 선발대회 운영 결과
확보방법
- 각 대회 예선, 본선에 참여한 인원을 대상으로 데이터 수집
주석
- 참여자 수 : 각 대회 예산에 참여한 인원
- 선발인원 : 본선대회에 참여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위촉한 인원
해설
-
과학공연 사이언스 버스킹 운영 현황
(단위: 명)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계
운영횟수(회)
44
32
48
58
54
236
관람객수(명)
30,014
26,465
41,695
2,145
4,394
104,713
과학강연 다들배움 운영 현황
(단위: 회, 명)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계
운영횟수(회)
335
220
224
252
227
1,258
관람객수(명)
27,926
18,875
20,639
53,851
19,605
140,896
과학공연 Science In the Zone(SIZE) 운영 현황
(단위: 회, 명)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계
운영횟수(회)
14
14
33
13
14
88
관람객수(명)
3,254
3,547
2,765
5,536
4,785
19,887
자료출처
- 각 세부 사업 결과보고서 자료
확보방법
- 세부 사업 운영에 따른 데이터 수집
주석
- 다들배움 : 2021년 오프라인 다들배움 운영(207회), 온라인 다들배움 영상 제작・배포 건수(20건) - SIZE : 기존 Science Night Live(SNL)에서 2020년에 사업명 변경
해설
-
종료사업
[정책사업] 과학문화산업육성 [세부사업] 과학문화전문인력양성활용
사업 기간
2019-2023
과학문화전문인력 발굴・양성 현황
(단위: 명)
구분
직종
2019
2020
2021
2022
2023
합계
강연
과학융합강연자
24
38
30
34
26
152
영상
과학크리에이터
25
35
27
35
22
144
글
과학저술가
27
36
30
-
-
93
과학저널리스트
-
-
-
42
-
42
과학스토리텔러
30
39
35
-
24
128
과학논픽션작가
-
-
-
-
15
15
그림
과학만화가
31
34
32
-
10
107
과학일러스트레이터
-
-
-
37
25
62
공연
과학퍼포머
23
-
-
-
-
23
과학공연기획가
-
-
31
-
-
31
과학공연가
-
-
-
35
10
45
기획
과학콘텐츠디벨로퍼
-
-
-
36
20
56
기초
기초과정(직종미부여)
-
-
-
-
27
27
합계
160
182
185
219
179
925
과학퍼포머 발굴・양성 현황
(단위: 명)
구분
2018
2019
2020
2021
계
참여자 수
53
42
35
35
165
선발인원
10
10
12
10
42
자료출처
- 과학커뮤니케이터 : 각 연도 페임랩 코리아 운영 결과 - 과학퍼포머 : 각 연도 과학퍼포머 선발대회 운영 결과
확보방법
- 각 대회 예선, 본선에 참여한 인원을 대상으로 데이터 수집
주석
- 참여자 수 : 각 대회 예산에 참여한 인원
- 선발인원 : 본선대회에 참여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위촉한 인원
해설
-
과학문화전문인력 양성과정 교육생 만족도
(단위: 점)
2019
2020
2021
2022
2023
-
4.6
4.1
4.5
4.54
자료출처
- 과학문화산업육성사업 백서(한국과학창의재단, 2024.2월)
확보방법
-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 결과보고 등
주석
- 과학문화 전문인력 발굴・양성 현황 :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80% 이상 수강 완료하고 개인별 결과물을 제출한 인원
해설
- 직종 개편 : (’19~’22) 6개 직종 → (’23) 8개 직종
* 과학저널리스트 → 과학논픽션작가, 과학스토리텔러 세분화 * 과학일러스트레이터 → 과학일러스트레이터, 과학만화가 세분화
종료사업
[정책사업] 과학문화산업육성 [세부사업] 과학융합콘텐츠 발굴・지원
사업 기간
2018-2023
과학융합콘텐츠 발굴・지원 건수
(단위: 개)
분야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계
과학융합콘텐츠 지원과제
과학융합 원천스토리 발굴
16
21
4
4
-
-
45
과학융합 콘텐츠 지원
24
20
20
10
10
10
94
싸이언-스토리 시나리오 공모전
시상 건수
-
-
7
-
5
5
17
수상작 후속 작품
-
-
2
2
5
2
11
계
40
41
33
16
20
17
167
과학융합콘텐츠 발굴・지원 현황
(단위: 개)
분야
2019
2020
2021
2022
2023
계
지원과제
드라마/영화
7
-
-
-
-
7
게임/애니메이션
3
-
-
-
-
3
만화/소설
7
4
1
1
-
13
공연(연극/뮤지컬)
10
6
2
5
3
26
영상/오디오
9
8
4
-
-
21
모바일 웹
2
-
-
-
-
2
전시
3
2
3
4
7
19
원천 스토리
-
4
4
-
-
8
공모전
시나리오
-
7
-
5
5
17
수상작 후속작품 (웹툰·웹드라마)
-
2
2
5
-
9
수상작 후속작품 (팟캐스트)
-
-
-
-
2
2
계
41
33
16
20
17
127
자료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융합콘텐츠 지원과제 모음집」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융합콘텐츠 개발지원사업 지원연구단 결과 보고」(2019∼2020년) 등
확보방법
- 지원과제 사업 결과보고서 통계화
주석
- 2019년∼2020년 지원연구단 운영 - 싸이언-스토리 시나리오 공모전 총 3회 운영(2020년, 2022년, 2023년)
해설
- 해당 사항 없음
종료사업
[정책사업] 과학문화산업육성 [세부사업] 우수과학문화상품
사업 기간
2019-2023
우수과학문화상품 선정 수
(단위: 종) -
직종
2019
2020
2021
2022
2023
계
과학교육
-
-
-
-
-
-
과학교구
5
2
1
-
-
8
과학굿즈
-
-
-
1
-
1
과학문화콘텐츠
3
4
1
-
-
8
1인 미디어
-
-
-
1
-
1
스토리
-
-
-
2
-
2
과학문화체험서비스
1
4
1
-
-
6
과학체험
-
-
1
-
1
아이디어
-
-
-
-
3
3
계
9
10
3
5
3
30
자료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인증 도서 통계·목록 자료」
확보방법
- 연도별 우수과학도서 인증제 선정 결과 보고
주석
- 해당 사항 없음
해설
- 해당 사항 없음
우수과학도서 인증 수
(단위: 종)
~2019
2020
2021
2022
2023
1,645
50
19
20
20
우수과학도서 부문별 인증 현황
(단위: 종)
연도
어린이
청소년(중・고등)
성인(대학・일반)
만화・시리즈
계
아동
초등
2019
210
390
312
522
183
1,617
2020
4
13
9
24
-
50
2021
6
4
9
-
19
2022
7
6
7
-
20
2023
8
6
6
-
20
계
638
337
568
183
1,726
우수과학도서 보급 현황
(단위: 개, 종)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보급처(개)
8,190
1,001
1,008
1,000
500
보급도서 수(종)
542,296
17,622
18,218
17,460
3,445
자료출처
- 우수과학도서 인증 도서 통계・목록 자료(한국과학창의재단)
- 우수과학도서 보급 추진 결과(한국과학창의재단)
확보방법
- 연도별 우수과학도서 인증제 선정 결과보고 - 연도별 우수과학도서 보급 추진 결과보고
주석
- 우수과학도서 인증 사업은 1999년에 시작하여, 2019년부터 과학문화산업육성 내 우수과학문화상품 세부사업에 포함되어 운영했음
해설
- 인증도서 수 : 2021년 인증취소 1건으로 기존 20건에서 19건으로 조정・반영
종료사업
[정책사업] 과학전문방송제작지원
사업 기간
2007~2023
과학전문방송 송출 가구 수
(단위: 만 가구)
~2019
2020
2021
2022
2023
합계
22,430
3,034
3,070
3,384
3,384
35,266
자료출처
- IPTV, 위성방송, MSO, SO 등 플랫폼 사업자
확보방법
- (정기/수시) IPTV, 위성방송, MSO, SO 등 플랫폼 사업자에게 채널의 시청가구수 집계 의뢰
주석
- 해당 사항 없음
해설
- 사이언스TV 채널의 시청이 가능한 국내 시청가구수의 총합계
과학전문방송 자체 제작 비율
(단위: %)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15.4
11.6
11.6
14.8
17.3
51.6
44.2
48.8
47.3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
41.3
34.6
44.4
33.2
34.4
33.3
37.4
52.6
-
자료출처
- 사이언스TV 편성운행시스템
확보방법
- 사이언스TV 편성 운행 시스템(BIS)로 사이언스TV 편성 데이터를 추출
주석
- 해당 사항 없음
해설
- 사이언스TV의 전체 편성 시간 중 자체 제작 프로그램 편성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
과학전문방송 시청률
(단위: %)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0.0016
0.0329
0.0273
0.019
0.0133
0.0145
0.0143
0.014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0.0158
0.0206
0.02357
0.0234
0.02495
0.0286
0.0252
0.0228
자료출처
- 닐슨미디어 코리아
확보방법
- 시청률 집계 및 분석 분야 전문기관 <닐슨미디어 코리아>와의 연간 계약 통해 시청률 집계 지표 제공 (시청률 집계 데이터 추출 프로그램 : Aranna )
주석
- 해당 사항 없음
해설
- 사이언스TV가 시청이 되는 정도를 의미 - 조사대상 시청가구수 내 시청 정보를 수집하여 모집단으로 환산 후 시청 정보와 결합하여 데이터 생성
과학전문방송 온라인 플랫폼 활용 실적
(단위: 회, 명)
구분
홈페이지
모바일 웹
유튜브
페이스북
네이버TV
네이버포스트
조회수
조회수
팔로워
조회수
팔로워
노출
조회수
조회수
2013
2,496,717
-
851
252,870
-
-
-
-
2014
3,425,215
-
6,785
3,131,640
-
-
355,365
-
2015
3,298,910
-
20,507
9,598,785
-
-
778,102
-
2016
3,535,516
934,350
41,626
19,117,418
110,405
173,406,570
968,441
7,781,452
2017
3,286,599
2,325,432
87,345
43,496,405
170,612
461,112,630
1,475,372
5,171,717
2018
2,861,203
2,062,354
159,542
53,551,044
191,761
77,299,132
1,271,998
8,312,476
2019
2,009,724
1,879,515
262,751
62,076,290
185,106
17,950,693
1,431,217
8,000,676
2020
2,590,858
2,522,894
442,706
91,460,046
180,506
19,403,336
1,039,776
4,021,039
2021
3,520,475
3,147,873
550,301
98,461,239
175,018
4,529,512
946,920
1,525,770
2022
2,501,319
3,366,292
623,856
68,755,918
172,101
1,325,791
806,516
311,834
2023
1,850,600
3,135,903
657,179
54,141,540
169,032
1,557,797
673,259
337,533
자료출처
- 온라인 기반 내/외부 플랫폼별 Back Office
확보방법
- 내/외부 플랫폼별 연동 Back Office 및 Goole Analytics로 집계된 데이터를 추출
주석
- 해당 사항 없음
해설
- 시청자들의 사이언스TV 온라인(Web, Mobile)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시청 활동 지표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