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 분석 연구 최종보고서
- 성과물 번호
- BD14060002
- 분류
- 연구·조사·검토보고서
- 영문 제목
- 주제
- 수학
- 키워드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현장 적용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집필․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 내용으로 3~4학년군 교과서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선행 연구에 기초한 1~2학년군 교과서의 수정본에 대한 재분석을 포함함.
∙ 1~2학년군 교과서에 대한 재분석 결과는 2013년 선행 연구 결과와 큰 차이가 없으나, 다소간의 변화가 주목됨. 특히 20이하의 수의 범위에서의 가르기와 모으기 활동 및 백의 자리 수가 1인 세 자리 수와 두 자리 수의 뺄셈 등에 대한 재고를 통한 교과서 반영을 제안함.
∙ 3~4학년군 교과서는 4가지 측면에서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음:
첫째, 재구성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연계성에 있어 재구성 성취기준이 교과서에 대체로 잘 반영된 것으로 나타남. 다만 계산기 사용과 관련하여 수와 연산 영역에서 어림 확인을 위한 사용은 연계성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남.
둘째, 교과서 차시별 학습목표에 따른 재구성 성취기준과의 연계 분석 결과는 연계성이 약한 10개의 요소를 보여줌. 이 중 소수의 계산에서 교육과정에 명시된 자릿수의 범위를 벗어난 내용에 대한 검토가 요구됨. 차시 내 활동으로 다루어져 분석틀에 걸러지지 못한 천의 자리 수가 1인 네 자리 수와 세 자리 수의 뺄셈에 대해서도 재고할 필요가 있음. 한편, 그 외의 것은 교육과정 집필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고려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경우로,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상세화 수준에 대한 논의를 제안함.
셋째, 용어와 기호 관련 분석 결과, ‘단위분수’가 연계성 부족의 사례로 드러남.
넷째, 수학적 과정의 하위 요소인 수학적 문제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소통이 교과서에서 적극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확인됨. 다만 단순화하기 전략의 미비는 문제해결 전략의 지도 측면에서 다소 보강될 필요를 시사함.
첨부파일
(2013)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 분석 연구_최종보고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