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검색

  • 프린트출력하기

동향리포트

해빙 열전도에 대한 새로운 수학적 이론 제시
원문제목Cold math, hot topic: Sea ice thermal conductivity
출처https://www.eurekalert.org/news-releases/1055762
분야연구조사보고서주제수학교육
유형단신발행일2024-08-27
등록일2024-09-04작성자한준우 사무행정원
조회11465추천1추천하기

해빙 열전도에 대한 새로운 수학적 이론 제시

기후 모델 예측의 정확성 개선 기대


▶ 맥쿼리대(Macquarie University)의 노아 크라이츠만 박사(Dr Noa Kraitzman) 연구팀은 2024년 8월 28일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해빙의 복잡한 구조와 흐름이 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해빙 열전도 연구 결과를 발표함 


▶ 해빙의 열 전도를 이해하는 것은 기후 변화 예측에 필수적이며,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대해 해빙의 열 전도에 대한 새로운 수학적 이론을 제시한 결과라고 설명함


▶ 노아 크라이츠만 박사는 해빙이 대기와 해양 사이의 열 전달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 연구가 해빙의 열전도 메커니즘을 설명함으로써 극지방 기후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함


▶ 연구팀의 해빙 열전도 연구는 기존 현장 연구*를 수학적 증명으로 해석하기 위해 해빙의 열적 특성을 온도와 염도만을 활용하여 이론적 결과와 실제 측정치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음. 연구팀은 해빙 내의 액체 염수의 이동이 열 운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기후 예측 모델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수학적 근거를 제공한다고 강조함

 * (1999년 Trodahl 연구 결과) 해빙열용량 산출 실험을 통해   검증

 

▶ 해빙의 손실은 날씨 패턴, 해양 순환, 해양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해빙 열전도의 이해가 미래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실제로 최근 북극에서는 해빙의 빠른 손실, 온난화 문제 발생 등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이 초래된 것으로 나타남


▶ 이번 연구는 맥쿼리대(Macquarie University), 유타대(University of Utah), 다트머스대(Dartmouth College)의 공동 연구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음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빠른 이동 메뉴

QUICK

    • 유튜브 바로가기
    • 네이버블로그 바로가기
    •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페이스북 바로가기
    • 고객지원센터

      02-55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