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창의재단

통합검색

  • 프린트출력하기

동향리포트

과기정통부, 2025 핵심과제 추진상황 국민 보고
원문제목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분야국가별정책주제SWAI교육
유형단신발행일2025-02-04
등록일2025-02-05작성자장미경 선임연구원
조회6260추천NaN추천하기

과기정통부, 2025 핵심과제 추진상황 국민 보고

AI·양자기술 개발 가속, 혁신 R&D 시스템 개선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추진상황에 대한 대국민 브리핑을 개최했음

 

이번 브리핑은 지난 113일 민생 안정과 미래 성장동력 강화를 주제로 개최된 경제2분야 주요현안 해법회의의 후속 조치임

 

과기정통부는 매월 핵심과제의 일정과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주요 실적과 계획을 국민에게 상세하게 설명할 계획임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음

 

인공지능 글로벌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한 AI산업 기반 확충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 산업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임. 202412월 국회를 통과한 인공지능(AI) 기본법이 지난 121일 공포되었고, 법 시행을 위해 ‘AI 기본법 하위법령 정비단을 발족했음

 

122일에는 민관 협력을 통해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실행계획()’을 발표했고, 123일부터 530일까지 관련 사업 공모를 진행 중임

 

27일에는 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2월 말에는 AI컴퓨팅 인프라 확충, 데이터센터 규제 개선 등을 포함한 ‘AI 컴퓨팅 기반시설 발전전략을 발표할 계획임

 

또한, 과기정통부와 고용부 간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AI 및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고, ‘쉬었음 청년을 대상으로 한 동기부여 교육을 신설할 계획임. 과기정통부 유상임 장관은 프랑스에서 열리는 ‘AI 행동 정상회의’(210~11)에 참석해 AI기본법 공유, 디지털포용법 확산 등 글로벌 인공지능 규범 논의를 주도할 예정임

 

핵심 전략기술 신속 확보를 위한 집중 지원

 

123국가바이오위원회출범과 더불어 대한민국 생명과학(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했음. 또한, 국제 첨단기술 보호 기조에 대응하기 위해 3대 정책 묶음(대표 사업 5개 신규 착수, 1조 원 이상 민간기금 조성, 기업 대응 비율 완화 등)을 발표했음

 

24일에는 ‘1조 원 규모의 과학기술혁신기금조성을 위해 전담 은행 및 기금 운용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올해 2,500억 원 이상의 민간기금을 조성할 계획임

 

3월에는 양자 분야의 범부처 역량을 결집하는 민관합동 양자전략위원회를 출범해 양자기술 개발과 산업 육성을 가속화할 계획이며, 게임 체인저 분야 최적의 투자 전략을 제시하는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을 발표할 예정임

 

이와 함께 세계 최대의 다자간 연구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 참여(20251), ‘-유럽연합(EU) 연구혁신의 날을 계기로 EU와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임

 

디지털 서비스 안정성 확보 등 민생 총력 지원

 

115일에는 통신비 부담 경감을 위한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이 발표되었고, 121일에는 이동통신 유통시장 현장을 방문해 단말기 지원금 경쟁 상황을 점검했음

 

향후 최적요금제 고지제도도입을 위해 3월경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며, 알뜰폰 도매대가 인하를 위한 관련 고시 개정을 2월 중 시행할 예정임. 또한, 문자결제 사기(스미싱) 피해 예방을 위해 X-Ray 시스템(이용자가 문자 중계사·재판매사에 대량문자 발송 요청 시 문자 내용에 스미싱 인터넷주소(URL)가 포함됐는지 판단하는 체계) 시범사업을 추진함

 

범부처 기술사업화 생태계 혁신 R&D 시스템 개선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 성과를 산업으로 연결하는 기술사업화 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123일에는 영호남 지역 기술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500억 원 규모의 영호남 연구개발기금을 조성했음. 또한, 사상 최대 규모(2.34조 원)로 편성된 2025년도 기초연구사업이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2월까지 신규 과제 선정평가를 완료할 계획임

 

3월에는 국가연구개발 기술사업화 전략’(가칭)을 발표할 계획이며, 이공계 대학원생들을 위한 연구생활 장려금 사업 공모를 2월부터 시작할 예정임. 또한, 출연연 혁신 방안을 기반으로 출연연 자율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규정 개정을 2월 중 완료할 계획임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빠른 이동 메뉴

QUICK

    • 유튜브 바로가기
    • 네이버블로그 바로가기
    •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페이스북 바로가기
    • 고객지원센터

      02-55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