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계통 연구 최종보고서
- 성과물 번호
- BD15020005
- 분류
- 연구·조사·검토보고서
- 영문 제목
- 대상
- 초등, 중학, 고교, 대학, 성인
- 사업분류
- 수학교육
- 주제
- 수학
- 키워드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필요에 부응하고 토론ㆍ탐구ㆍ체험 중심의 창의적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및 미래 사회 대비 국가 교육과정 방향 탐색의 기초가 되는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계통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수학 내용 계통도 관련 선행 연구 및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수학 학습 내용 계통도의 틀과 형식을 발굴하였다. 그리고 발굴한 내용 계통도의 틀과 형식에 맞도록 초․중․고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내용 계통도 16종을 초등학교 5개 내용 영역(수와 연산, 도형, 측정, 규칙성, 확률과 통계)과 중학교 5 내용 영역(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 및 고등학교 6개 과목(수학I, 수학II, 미적분I, 미적분II, 기하와 벡터, 확률과 통계)별로 작성한 뒤, 4인의 수학 및 수학교육 전공 교수와 8인의 현직 수학교사의 자문과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이 과정에서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고, ZDM 분류 체계를 이용하여 각 내용 요소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내용 요소별 세부 학습 내용을 정선하여 고유번호와 함께 내용 계통도의 내용 요소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만들어진 계통도를 Prezi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웹에서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되는 내용 계통도는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려주는 교육과정 운영에 부응하는 토론ㆍ탐구ㆍ체험 중심의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기초 자료나 문ㆍ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과 미래사회 대비 국가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사들은 본 연구의 내용 계통도를 통해 학습 내용의 범위와 학습 내용의 위계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 지도를 할 수 있고,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