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중심의 중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개발 최종보고서
- 성과물 번호
- BD15020008
- 분류
- 연구·조사·검토보고서
- 영문 제목
- 주제
- 수학
- 키워드
- #맥락으로부터의 수학화
- # 수학교과서
- # 실생활 연결성
- # 융합형 인재 양성
- # 주제중심
- 연구요약
- 가. 사업추진 및 관리 근거
○ 교과서만으로 학교의 기본 교육이 완성되는 ‘교과서 완결 학습체제’ 구축: 학생들이 참고서나 학원의 도움 없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을 강조함
○ 이는 정보주입식 교과서를 재미있고 친절한 스토리텔링 교과서로 전환의 필요성과도 연계
○ 수학과 실생활의 연결성 강조 (교육과학기술부, 2011)
○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사고력과 탐구력을 높일 수 있는 참신한 소재나 상황을 이용하고 창의 및 인성을 강조한 ‘수학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항목별로 제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 2015년 교육과정 개정 예정인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의 새로운 유형 제시 필요
○ 미래 사회 융합형 과학 기술 인재에 적합하며, 우리나라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선호도 높은 수학교과서 모형 제시 필요함
나. 연구의 필요성
○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 전반에서 보여주는 부정적 인식은 국가 사회적으로 볼 때 수학 학업성취도 저조 현상에 못지않은 문제점임이 판단됨
○ 이를 개선 위해서는 학습자 개인의 수학 학습 특성이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 측면을 고려한 교과서의 개발 필요함
○ 실생활 맥락에 의한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의 연결을 통하여 수학적 지식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고 학습의 흥미 및 동기를 고취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 (예: 류희찬, 권성룡, 김남균, 2005; de Lange, 1996)
○ 핵심역랑 기반 교육과정: 현대의 한국 수학교과서는 교과서를 단순히 지식 전달의 관점이 아니라 교과 지식의 전달과 연계하여 핵심역량 개발의 관점에서 설계할 것을 제시. 즉, 학교 교육을 통해 배우는 지식이 학교 혹은 사회에서 당면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과 연계되어 조직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성 강조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학교과서에 대한 반성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선진국의 수학교과서와 견줄 만한 독자성 및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주제 중심, 맥락 중심의 교과서 모형을 제작하고자 함
첨부파일
주제 중심의 중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_교과서모형.pdf
주제 중심의 중학교 수학교과서 모형 연구_최종보고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