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외 인재 귀환 전략으로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국제 공동연구 및 연구 리더 육성에 성과
▶ 중국 정부가 지난 수십 년간 적극적으로 추진해 온 해외 과학기술 인재 유치 전략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네이처(Nature) 7월 25일자에 보도됨
▶ 네이처(Nature)의 특집 기사(‘중국의 대담한 인재 유치 전략이 과학에 끼친 영향’)에 따르면, 중국의 귀환 인재 유치 정책인 ‘천인계획(Thousand Talents Plan)’을 중심으로 유망한 해외 인재 수만 명이 자국의 연구 현장에 복귀해 연구 역량 강화와 국제협력에 기여했음
▶ 천인계획은 1990년대 후반부터 시행돼 2018년까지 약 1만 6천 명의 과학자와 기술 창업가가 복귀했으며, 이들은 수백만 위안의 초기 연구비와 주거 보조금, 정규직 직위 등을 제공받고 연구를 진행해 왔음
▶ 네이처는 미국에서 박사후과정을 거친 뒤, 약 4백만 위안(한화 약 5억 6천만 원)의 연구비와 정교수 직위를 받아 귀국한 류난(Nan Liu) 박사를 대표 사례로 소개했음. 이 같은 파격적인 조건 덕분에 일부 인재들은 박사후 연구원에서 곧바로 정년 보장 교수로 임용되는 등 빠른 연구 경로를 확보할 수 있었음
▶ 이들은 전반적으로 자국 연구 성과의 질과 양을 모두 향상시켰음. 예를 들어, 청년 천인계획(2012~2014년 참여자)의 경우, 해외 잔류 연구자에 비해 논문 수가 많고 인용도도 높았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음
▶ 또한, 이들 중 다수는 주요 대학 총장, 국가 연구 프로젝트 책임자 등으로 활동하며 과학기술 리더로 성장하고 있음. 네이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가연구과제 책임자 및 주요 대학 총장 중 약 70%가 귀환 인재 출신인 것으로 조사되었음
▶ 한편, 이 같은 유치 전략은 중국 내에서 부작용도 낳고 있음. 귀환 인재를 과도하게 지원하고 우대하는 정책은 자국의 기존 연구자들, 특히 청년 과학자들 사이에서 형평성 논란을 야기하고 있음. 또한, 귀환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제 공동연구 건수와 논문 인용 수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음
▶ 이에 따라 장기적인 성과 유지와 협력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정책적 보완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제기됨
▶ 중국 사례는 해외 고급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체계적·장기적인 국가 전략이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함. 특히 정규직 중심의 안정된 채용 구조와 대규모 초기 연구비, 주거 안정 지원 등이 우수 인재를 유치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해외에서 학위나 경력을 쌓은 연구자들이 안심하고 귀국할 수 있도록, 단기 펀딩 중심의 귀환 지원에 그치지 않고 중장기 연구 기반과 커리어 경로 설계가 보장된 인재 유치 체계의 구축 필요성이 제기됨
▶ 아울러, 중국 사례에서 드러난 형평성 논란은 국내 박사 출신 연구자와의 균형 있는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함. 귀환 인재에 대한 과도한 우대가 기존 생태계의 신뢰를 훼손하지 않도록, 국내외 인재 모두를 아우르는 성과 기반의 객관적 평가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또한, 귀환 인재가 자국의 연구 환경에 안착한 이후에도 해외 연구자들과의 협력 관계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국제 공동연구 유지 및 확대에 대한 정책적 유인 설계도 필요함. 이를 위해, 이들이 국제 네트워크의 ‘가교’로 기능할 수 있도록 복수 소속 인정, 해외 공동연구 장려 펀딩, 장단기 교류 프로그램 등이 뒷받침되어야 함
▶ 이와 함께 귀환 연구 인력을 대학 운영, 정책 자문, R&D 전략 수립 등 과학기술 생태계 전반에서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조 설계도 함께 병행될 필요가 있음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