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EU 청년 과학자 교류 프로그램 추진
▶중국-EU는 7월 25일 베이징에서 수교 50주년을 맞아 과학기술 협력 강화 행사를 개최했음. 이번 행사는 청년 과학자 등 미래 세대를 중심으로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중국-EU 청년 과학자 교류 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음
※ 중국 과학기술부(MoST), 중국과학원(CAS), EU 회원국 과학기술 참여자 등 국가 주도의 외교 기관이 참여함
▶이번 프로그램은 단기적 성과보다 인적 교류 강화에 중점을 두고 박사과정, 연구원, 젊은 교수급 과학자가 중국과 EU 지역에서 공동 연구 실습을 진행할 계획이며, 청년층 중심의 공동 연구를 통해 유럽-중국 간 기술 경쟁 갈등 완화 및 상호 이해 증진 등을 기대함
※ 프로그램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형식 : 양방향 연구 인턴십, 공동 프로젝트, 현장 실습, 국제 컨퍼런스
- 기간 : 다년간 지속(상시 교류 모델 구축)
- 특징 : 분야 제한 없음, 다학제 연구 장려, 문화·언어 교류 포함
- 지원 : 연구비, 체재비, 실험·관측 인프라 공동 활용
- 목표 : 공동 논문, 기술 이전, 장기 연구 네트워크 형성 (관계자들은 현재의 청년 과학자 네트워크가 10~20년 뒤, 과학·경제 협력의 중추 역할이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함)
※ 중국-EU 정책·외교적 분석
- 배경 : 미·중 갈등 속 대안적 협력 채널 구축
- 목표 : 정치·경제 갈등 완화, 과학기술 혁신 역량 결합, 글로벌 과제 공동 대응
- 유형 : Diplomacy for Science(외교가 과학을 지원) + Science for Diplomacy(과학이 외교관계 개선에 기여)
- 도구 : 인재 교류, 공동 인프라 활용, 공동성과 창출
- 효과 : 장기적 인적 네트워크 형성되어 차세대 과학 리더 간 신뢰 구축
- 요인 : 기술 안보 우려, 지식재산권(IP) 분쟁 가능성, 정치적 긴장 악화 시 프로그램 중단 위험
▶중국-EU 공동 협력 사례
1) SVOM 위성 프로젝트
- 주체 : 중국(CNSA) - 프랑스(CNES) 공동 우주 관측 위성 프로젝트
- 목표 : 감마선폭발(GRB)을 탐지해 초기 우주(빅뱅 후 수억 년 시점)와 블랙홀 형성 과정 연구
- 성과 - 2024년 6월 발사 이후, 1년 만에 138건 GRB 탐지
- 130억 년 전 발생한 초장거리 GRB 발견
- 의미 : 천문학 연구에서 글로벌 다중 파장 관측* 체계 구축
* 다중 파장 관측: 감마선뿐만 아니라 X선·광학·적외선 등 다양한 파장을 동시에 관측해 우주 격변 현상을 입체적으로 기록
2) 청년 연구자 공동 연구 사례
- 유럽 입자물리연구소(CERN), 중국 사막의 차세대 태양광 연구 현장 등에서 양측 연구자 상호 파견
▶보도에 따르면, 이번 ‘중국-EU 청년 과학자 교류 프로그램’은 과학 외교의 전형적인 사례로, 과학 협력을 통해 외교관계 개선과 글로벌 과제 대응에 직접 활용할 수 있음
※ 글로벌 과제에 필요 사항
- 정치적 긴장에도 지속 가능한 ‘비정치적 과학 협력 채널’ 유지
- 지식재산권·데이터 공유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
- 국제 공동성과를 대중과 공유해 사회적 지지 기반 마련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