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학교·교육 현장에 AI 도입 가속
교사 연수·정책 부재로 현장 혼선 심화
▶ 미국의 교육 전문지 에듀케이션 위크(Education Week)는 10월 20일자 보도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이 K-12 교육 현장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학교·교육구 차원의 정책과 교사 연수가 충분히 마련되지 않아 현장에서 혼선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음
▶ 보도에 따르면, 미국 내 다수의 학교가 ChatGPT, Khanmigo, MagicSchool 등 생성형 AI 도구를 수업에 도입하고 있지만, 교사와 관리자 상당수는 아직 공식 지침이나 연수를 받지 못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음. 최근 에듀케이션 위크 리서치센터(EdWeek Research Center)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약 절반이 “자신의 학교나 교육구에 AI 정책이 없다”고 답했음
▶ 기사에서는 “AI의 확산 속도에 비해 윤리적, 법적, 교육적 가이드라인 마련이 뒤처지고 있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지적됐음. 이는 교사들이 AI의 효용성을 인정하면서도 학생 과제의 진위 확인, 개인정보 보호, 평가의 공정성 등 새로운 부담에 직면하고 있음을 시사함
▶ 보도에 따르면 뉴저지주 패사익(Passaic) 학군은 이러한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해당 지역은 AI 리터러시(AI Literacy)를 정규 교과에 포함해 학생들에게 ‘AI는 마법이 아니다(It’s not magic)’라는 주제로 AI의 작동 원리, 알고리즘 이해, 윤리적 문제를 가르치고 있음. 에듀케이션 위크는 이를 “학생이 AI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실험적 시도”로 평가했음
▶ 그러나 이런 시도는 아직 소수의 사례에 그치고 있으며, 대부분 학군에서는 AI 활용이 개별 교사나 학교 단위의 자율적 실험 수준에 머물고 있음. 즉 일부 교사는 AI를 수업 설계, 채점 루브릭 작성, 교수 자료 제작 등에 활용하지만, 국어·사회·예술 등 일반 과목에서는 활용이 제한적임
▶ 에듀케이션 위크는 “교사 연수와 정책이 미비한 상태에서 AI를 무분별하게 도입할 경우, 과거 ‘스마트보드’처럼 단기 유행으로 그칠 수 있다”고 경고했음. 전문가들은 “AI 활용의 핵심은 기술이 아니라 교사의 준비도와 교육목표 설계 능력”이라며, 체계적인 연수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음
▶ 보도에 따르면 일부 주(州)는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자체적으로 마련하고 있지만, 전국 차원의 통일된 기준은 부재한 실정임. 현재 오하이오주와 테네시주만이 교육구 단위의 AI 정책 수립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으며, 다른 주는 여전히 개별 학교나 지역의 재량에 맡겨진 상태임
▶ 전문가들은 “AI가 교사를 대체하지는 않지만,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사와 그렇지 못한 교사 간 격차는 점점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음. 이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는 구조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는 지적임
▶ 한국 교육계에도 AI 기반 학습도구와 생성형 AI 활용이 확산되고 있지만, 교사 연수, 학교 지침, 윤리 기준은 아직 제도화되지 못한 상태임. 따라서 ① AI 도구의 교육적 목적 명확화 ② 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구축 ③ AI 윤리·데이터 활용 기준 제정 ④ 학생 대상 AI 리터러시 교육 의무화 등이 종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
<동향리포트>는 글로벌 과학기술문화, 과학·수학·정보 교육 분야의 정책 의사결정자들을 위한
국가별 정책, 연구조사보고서, 유관기관 동향 등 시의성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